EZ EZViwe

정부, 각국 5G 전면전 속 세계 첫 상용서비스 의지 "방안은?"

R&D 확대 통해 5G 기술 특허 선점…2023년 1GHz 이상 주파수 확보 박차

최민지 기자 기자  2015.03.24 17:23:07

기사프린트

[프라임경제] 24일 정부가 '미래성장동력-산업엔진 종합실천계획'을 발표한 가운데 세계 최초로 1Gbps급 전송속도를 제공하는 5G 상용서비스를 향한 로드맵을 구체화했다. 정부는 당장 올해에만 5G 이동통신에 771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미래창조과학부(이하 미래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19대 미래성장동력 중 하나로 5G 이동통신을 선정, 2020년까지 △세계 첫 5G 상용서비스 제공 △이동통신 세계 최고 단말 1위 △국제 표준특허 경쟁력 1위를 달성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정부는 △올해 Pre-5G 핵심기술 시연 △전략적 연구개발(R&D) 추진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 때 5G 시범서비스 시연 △5G 위한 주파수 확보 △국제표준화 대응 등의 방안을 내놓았다.

미래부에 따르면 이러한 전략은 지난해 이미 밝혔던 내용이지만, 이번에는 실천계획인 만큼 좀 더 구체화한 것이다. 

우선, 정부는 세계 각국 간 펼쳐지는 5G 기술 선점전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5G 이동통신 R&D를 확대한다. 정부는 5G 기술·차세대 와이파이(Wi-Fi)·단말 간 통신(D2D) 등 5G 후보 핵심기술을 연구개발하는 것은 물론, 핵심 지적재산권 및 국제 표준기술 확보를 위한 기술 선도형 5G 원천기술 개발도 병행한다. 

또, 오픈 테스트베드를 구축·운영하고 5G 장비·단말·서비스 분야의 상용화 지원을 위한 글로벌 시장지향형 기술 및 제품 개발에 착수한다.

이에 대해 김광수 미래부 정보통신방송기술정책과장은 "5G 이동통신의 가장 큰 전략은 R&D 투자를 통해 핵심기술을 확보하고, 우리기술로 평창에서 5G 서비스가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5G 기술 특허 확보를 두고 경쟁하는 가운데 우리 기업·연구소들이 5G 기술 특허를 많이 보유할수록 라이센스 비용뿐 아니라 특허전에서 협상할 수 있는 수단을 가질 수 있어 유리하다"고 제언했다.

정부는 2020년 5G 서비스 상용화 전 미리 체감할 수 있는 Pre-5G 서비스를 올해 시연한다. 5G 망이 구현되지 않아도 D2D 등을 통해 5G에 가까운 기술을 선보이겠다는 것.

이와 함께 5G 서비스를 위한 주파수 확보에도 주력해 국내 주파수 확보 계획을 반영한 글로벌 주파수 확보 및 6GHz 이상 대역 신규 5g 후보대역 발굴 연구를 추진한다.

이를 위해 정부는 모바일 광개토 플랜을 통해 2023년까지 1GHz 폭 이상을 추가 확보한다는 청사진을 그렸다. 구체적으로 2020년까지 600MHz, 2023년까지 1190Mhz 폭의 이통 주파수를 확보할 계획이다.

아울러, 6GHz 이상 대역 확보를 위한 의제 채택을 위해 6GHZ 이상 신규보고서 작업을 주도적으로 수행할 방침이다. 여기 더해 5G 국제표준화에 대응하기 위해 2018년 기술 규격 제안 및 평가 검증을 거치고 2019년 5G 규격 제정 등 ITU에서 실시하는 차세대 이동통신 표준 추진 일정에 맞춰 국제공조를 지속한다.

한편, 정부는 5G 상용서비스 추진을 위해 △미래부 △이통사 △제조사 △중소·중견기업 △5G 포럼 △민간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5G 전략 추진위원회를 구성하고, 5G 서비스 추진 실무 태스크포스(T/F)를 운영키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