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얼마 전 세계 주요 27개국 정부와 기업·언론·비정부기구의 신뢰도를 매긴 '2015 에델만 신뢰 바로미터 조사 결과가 발표됐다. 여기서 한국의 기업 신뢰도는 조사 대상국 가운데 꼴찌를 기록했고, 정부 신뢰의 경우 멕시코와 공동 바닥권인 20위에 그쳤다.
연초 이래 들려오는 사회지도층의 많은 부정비리 사례들은 바닥에 이른 신뢰수준을 확인해주는 것 같아 안타깝기만 하다. 현직 국회의원과 전직 해군참모총장이 구속되고, 전직 공군참모총장과 정부부처 차관은 유죄가 확정됐다.
또 공기업을 비롯해 무역보험공사와 대기업 등 최고경영층·소위 사회지도층의 비리와 부정사례가 줄을 잇는다. 대부분 법규와 윤리적 가치에 위배되는 뇌물, 향응, 청탁, 이권개입과 같이 우리 사회를 오염시키는 행위들이다.
아울러 이들 사례들은 사회지도층이 우월적이고 독점적인 지위나 권한을 무분별하게 남용 내지 오용했음을 보여준다. 그동안 강조해온 지도층의 솔선수범이 청렴과 윤리사회를 앞당겨 견인한다는 경구를 비웃음 거리로 만들고만 셈이다. 지도층에 대한 신뢰가 높아질 턱이 없다.
신뢰란 사회자본의 핵심이다. 신뢰가 있는 곳에 협력적이고 생산적 대화가 싹튼다. 신뢰는 경제사회의 효율을 높이고 공정성과 사회발전의 원동력인 것이다. 신뢰가 없다면 동반의식이 약해지며 창의성을 발휘하는 믿음이 사라지고 대립과 충돌을 일으키기 쉽다.
실제 △국제평판연구소(Reputation Institute) △국제경영개발연구원(IMD) △세계경제포럼(WEF) △국제투명성기구 △정치경제위험자문공사(PERC)의 조사결과를 보면 신뢰·윤리도덕·평판·품격 등과 연관된 우리사회의 현 위치는 밝지 않다.
법규와 도덕을 넘어 곳곳에서 은밀하게 행해지는 부정과 비리가 누적되고 불신의 싹이 자라나는 것이다. 더욱 우리 국민들은 다른 사회구성원보다 사회지도층에 대한 불신이 매우 높은 수준이다.
지난해 8월 출범한 정부합동 부패척결추진단은 연말까지 1643건의 비리를 저지른 6046명을 적발했다고 전했다. 딱히 최근 들어 부정·부패행위가 증가했다고 판단하기는 어려운 일이다.
그러나 감찰·감사와 같은 공직기강 확립이나 점검활동 강화에 따라 적발이 증가한 것으로 볼 수 있어 안타깝기만 하다. 적발과 처벌에 의존하는 부정부패 척결대책은 오래 지속되기 어렵기 때문이다.
청렴과 윤리의 일상생활화가 조직과 사회 속에 뿌리내려야 한다고 강조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문화는 사고와 행동을 결정하는 핵심적인 토대다.
대통령이 지적한 바와 같이 공직자들의 부정부패와 사회지도층의 비리가 계속 되는 한 국가에 대한 국민의 불신은 지속될 수밖에 없다. 더욱이 정부나 공공기관의 청렴과 윤리수준은 우리 사회 일반의 목표나 기대가 되는 가치수준임을 잊어서는 안 된다.
어느 사회든 도덕적인 숙련과 품위 있는 언행을 신뢰하게 돼 있다. 임무와 책임에는 이에 걸맞은 권력이 주어진다. 따라서 권력을 행사하려면 책임과 의무를 다해야 할 뿐 아니라 다른 사람을 배려하고 책임 있는 행동이 선행돼야 하는 것이다.
정직과 책임감, 배려와 관용이 바탕을 이루지 못할 때 부정과 부조리가 싹을 틔우고 불신이 사회적으로 자리를 잡게 된다. 결국 불신은 거래위험을 높이고 신용을 위축시켜 사회분위기를 혼란스럽게 만든다.
사회 지도층이 마땅히 실행해야 할 정직을 소홀히 하거나, 사회적 책무에 관심이 없다면 하루빨리 그 자리에서 물러나는 것이 올바른 자세다. 힘을 행사하는 리더의 품성에 따라 조직이나 사회 분위기가 좋게 혹은 나쁘게 만들어 질 수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