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하나금융지주가 외환은행과 하나은행의 합병 예비인가를 신청하면서 외환은행 노조와의 골이 점점 깊어지고 있다.
외환은행 노동조합은 20일 '외환은행 최소 5년 독립경영' 약속을 헌신짝처럼 내던진 하나금융지주의 만행과 이를 묵인하고 조장한 금융당국의 행위를 강력히 규탄한다는 내용의 성명서를 발표했다. 특히 2·17 합의서 위반행위의 잠정적 중지명령을 구하는 가처분을 신청했다.
또 노조가 기존 2·17 합의서를 대체할 새 합의서 작성을 위해 곧바로 '본협상'을 제안했고, 대화가 재개되는 시점에서 합병예비인가신청서를 제출한 것은 어렵게 마련된 대화의 장을 파괴하는 전형적인 '갑의 횡포'라고 날을 세웠다.
노조 관계자는 "김정태 하나금융지주 회장이 지난해 7월 조기통합 추진을 선언한 이래 이에 관한 공개적인 토론이나 검증절차도 없었다"고 운을 뗐다.
이어 "지난 1967년 설립돼 무려 48년간 세계시장에서 금융한국을 대표해온 외환은행의 생명에 종지부를 찍는 의사결정을 아무런 공개적인 토론이나 검증조차 허용하지 않는다는 것은 너무도 위험한 발상"이라고 설명했다.
이 성명서는 통합의 타당성에 대한 검증이나 공론화 과정 없이 강행되는 하나은행, 외환은행 간 합병은 외환은행이나 하나금융지주뿐 아니라 금융산업 전반에 큰 위험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는 내용이 담겼다.
노조는 이를 뒷받침할 세 가지 이유를 들었다. 첫째, 지금의 하나·외환 합병은 과거 그 어떤 합병사례보다 위험요소나 불안요인 등이 밝혀지지 않은 각종 의혹이 많아 통합의 타당성 여부부터 하나지주의 일방적 주장이 아닌 객관적이고 치열한 토론과 검증이 필요하다.
둘째, 과거 많은 국내사례에서 통합에 대한 공감대 형성을 소홀히 했고 통합 시너지보다는 장기적으로 은행의 '정치권력화'에만 일조한 역사를 갖고 있다.
셋째, 어려운 조건에서 과거보다 나은 은행 통합 절차를 진행하자면 통합에 대한 비상한 합의와 검증 절차를 통해 공감대를 형성하고, 장기적으로 화학적 결합을 통한 진정한 시너지 창출이 절실하기 때문이라는 부연이다.
노조 관계자는 "노조와 하나지주 간 본 협상이 2·17합의서를 계승, 발전시킨 새 합의서를 도출하는 것에 목적을 뒀다"며 "하나지주가 대화를 하자면서 바로 예비인가신청이라는 통합절차를 강행한 것은 대화에 진정성이 없고 협상을 무의미한 것으로 생각한다는 것을 밝힌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조기통합에 맞춘 무리한 IT통합일정의 추진에 따른 문제점이 벌써 가시화되는 등 김정태 회장의 연임을 위한 무리한 조기통합추진이 외환은행뿐 아니라 하나금융지주에도 심각한 위험을 야기하고 있다"고 첨언했다.
외환은행 노조는 하나금융지주와 금융위원회에 △합병예비인가신청을 철회하고 대화에 임할 것 △2·17 합의서를 위반한 하나지주 합병예비인가신청 불허 △조기통합 및 IT통합절차의 문제점에 대한 조사 및 즉각적인 시정 등을 촉구했다.
여기 더해 하나지주와 금융위원회가 상호 야합을 통해 타당성 검증이나 공감대 형성도 되지 않은 조기통합을 무리하게 강행할 경우, 이로 인해 발생하는 사태의 책임은 김정태 하나금융지주 회장과 신제윤 금융위원장에게 있다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