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한경연 "2008년 금융위기 이후 노동시장 유연화, 한국만 역주행"

노동시장 경직성 OECD국가 중 70위…시장 유연성 개선 시급

추민선 기자 기자  2015.01.16 09:47:28

기사프린트

[프라임경제] 지난 2008년 금융위기 이후 대부분 국가가 노동시장 유연성을 높여왔으나 우리나라만 역주행하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한국경제연구원(원장 권태신·이하 한경연)은 16일 '노동의 미래와 노동 유연성'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한경연은 "2008년 금융위기를 기점으로 대다수의 국가가 노동시장 유연성을 높이는데 주력해 왔지만, 우리나라는 오히려 경직성이 높아졌다"며, 국가경쟁력 제고를 위한 노동제도 개선을 주장했다.

지난 2006년과 2013년의 노동시장 경직성 지수를 비교한 결과 대부분 국가에서 노동시장이 유연성이 높아진 반면, 우리나라는 경직성이 높아진 것으로 파악됐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의 노동시장 경직성 지수는 2006년 29.5에서 2013년 28.3으로 1.2포인트, OECD를 제외한 기타 국가의 경우 35.0에서 31.5을 기록, 3.5포인트 내려갔다. 반대로 한국은 28.3에서 35.8로 7.5포인트 올라갔다.

한경연은 이에 대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선진국·후진국 모두가 노동시장 유연화를 위해 구조개혁을 추진해온 결과"라며 "우리나라만 세계적 추세에 벗어나고 있다는 방증"이라고 해석했다.

한국의 노동시장 유연성을 살펴보면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8년 조사대상 107개국 중 38위에서 2013년에는 32계단 하락한 70위였다.

세부지표인 수량적 유연성도 2008년 45위에서 2013년 74위까지 하락했다. 또 수량적 유연성을 고용유연성·투입유연성 두 분야로 나눴을 때, 2013년 고용유연성은 86위로 상당히 경직적이었고, 투입유연성은 51위로 중간 수준이었다. 고용유연성의 세부지표 가운데 해고비용은 107개 국 중 88위를 기록했다.

이에 대해 한경연은 "최근 정년연장은 고용의 경직성을 높인 대표적 사례로 정기상여금의 통상임금에 포함, 근로시간 단축 등은 투입유연성을 악화시킨 사례"라며 "노동시장 유연성 개선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여기 더해 보고서는 계속 진행 중인 노동시장의 주요 변화로 기술혁신에 따른 제조업 고용 위축, 정보통신기술 활용 스마트워크(smart work) 확산, 노동시장 이중구조 현상 심화를 들었다.

이에 한경연은 "산업화시대 공장제 근로방식을 규율하던 기존 노동규제는 변화된 노동환경 현실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노동시장 유연성 제고 방안으로는 계약직 고용기간 무제한 확대, 파견직 근로자 금지업종 외 업종 파견 허용(포지티브 방식에서 네거티브 방식으로 전환), 비정규직 보호 제도의 실효성 제고 등을 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