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고령화시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며 더불어 '노후준비'에 대한 연구도 꾸준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발표되는 수치를 살펴보면 실제로 비은퇴 가구 중 재무적으로 노후준비가 된 이들은 많지 않은데요.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가 발표한 '2014 한국 비은퇴 가구의 노후준비실태'를 보면 2014년 한국 비은퇴 가구의 KB노후준비지수는 평균 50.5로 지난해(50.3)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또한 비은퇴자의 절반이 넘는 55%가 노후준비지수가 50 미만으로 나타나는 등 재무적 노후준비가 지난해에 비해 더욱 뚜렷한 양극화 현장을 보였는데요.
비은퇴자 중 노후준비가 잘 된 계층과 취약계층 비중은 지난해에 비해 증가한 반면 중간 계층 비중은 감소한 것이죠.
실제로 비은퇴자 중 노후준비지수가 30 미만인 경우와 70 이상인 경우는 지난해에 비해 각각 5.4%p, 2.6%p 상승한 반면 30 이상 70 미만은 8.0%p 하락했습니다.
전문가들은 이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먼저 '부동산'을 꼽았는데요. 전체 비은퇴 가구 중 절반 이상이 전·월세 보증금을 제외한 부동산자산을 보유한 만큼 향후 노후생활 부족자금 재원으로 활용하는 것을 추천했습니다.
보유 부동산 자산을 주택연금 등을 활용해 노후 준비자금으로 사용할 경우, 전체 비은퇴 가구의 평균 재무준비지수는 41.7에서 52로 10.3% 상승한다고 하네요.
이러한 부동산자산 유동화는 특히 부동산자산 보유율이 높은 40~50대 가구에서 재무준비 개선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되며 향후 부동산 가격 변동이 재무준비 개선폭에 영향을 미칠 전망입니다.
이 밖에도 '과도한 자녀관련 비용'과 '가계부채 부담'이 비은퇴가구의 원활한 노후준비를 위해 해결돼야 할 과제로 꼽혔는데요.
특히나 노후준비가 가장 미흡한 유자녀 부부가구의 자녀 양육·교육에 대한 의식변화와 함께 사회·정책적 대처 방안도 함께 모색할 필요가 있다는 분석입니다.
개인연금 가입도 필수입니다. 개인연금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크게 달라졌으나 실제 가입 가구는 전체 비은퇴 가구의 36% 수준인데요.
연금상품은 개인의 노후준비는 물론, 금융기관 입장에서도 장기적 고객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핵심상품이므로 연금 성격의 장기 금융상품·서비스 개발에 지속적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습니다.
무엇보다 아직 전체 비은퇴 가구의 노후준비자금 추정액 중 '개인연금 및 저축'이 차지하는 비중이 30%에 미치지 못해 노후준비를 위한 장기적 관점의 저축이 중요하다고 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