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LG유플러스 상담원 자살에 불거진 책임론…무리한 계약 지적

도마에 오른 감정노동자 처우개선…민주노총, 내주 공식사과 요청

최민지 기자 기자  2014.11.14 17:25:40

기사프린트

[프라임경제] LG유플러스(032640·부회장 이상철) 협력 컨택센터(콜센터) 상담원의 안타까운 자살 소식이 전해지면서 이에 대한 책임론이 갑(甲)사인 LG유플러스를 향하고 있다. 무리한 계약 관계가 있었는지 정부 차원의 정확한 사실관계 조사도 있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앞서 지난달 21일 LG유플러스 전주 고객센터에서 30대 상담원 이모씨는 유서를 남기고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일정한 판매량을 채우지 못하면 퇴근하지 못하는 등 실적압박을 강제하는 살인적인 노동강도와 직무 스트레스를 지적하는 기자회견도 이어졌다. 

이씨가 남긴 유서는 '노동청에 고발합니다'로 시작해 회사로부터 인터넷전화와 IPTV 판매를 강요받는 등 할당된 판매량을 채우지 못할 경우 퇴근을 못하고, 계약서에 명시된 추가근무 수당도 받지 못했다는 내용이 담겼다.

그는 "문제는 과도한 상품판매인데, 고객센터에 단순 문의를 하는 고객들에게 전화(070 인터넷 전화)·인터넷TV(IPTV)·맘카(홈cctv) 등의 상품 판매를 강요하고 목표 건수를 채우지 못하면 퇴근을 하지 못한다"고 상황을 전했다.

특히 "목표 건수는 회사에서 강제로 정한 내용이며, 입사설명회 당시 추가근무 수당을 지급해 준다고 계약서에 쓰여 있으나 이행되지 않았다"고 일갈했다.

남은 글에는 이런 행태가 LG유플러스 전주센터뿐 아니라 서울과 부산에서도 공공연하게 이뤄지고 있다는 내용도 포함됐다.

이는 비단 LG유플러스만의 문제가 아닌 감정노동자로 분류되는 콜센터 상담원들의 열악한 근무환경이 빚어낸 안타까운 사연이라는 풀이가 나온다. 감정노동자들의 처우개선을 요구하는 내용은 그간 다양한 목소리로 제기된 바 있다.

LG유플러스의 경우 콜센터를 아웃소싱의 한 형태인 도급으로 진행됐지만, 직접적 지휘나 감독이 있었는지도 짚을 필요가 있다. 만약 있었다면 LG유플러스는 불법파견(위장도급)을 그간 자행한 것이나 다름없다는 해석도 가능하다. 

LG유플러스가 협력사와 계약을 맺고 콜센터를 운영했지만 실적압박 등 무리한 계약관계가 가슴 아픈 사연으로 이끌었다는 지적도 사실관계를 따져야 한다. 

이와 관련해 민주노총 전주본부 익산지부는 다음 주 기자회견을 통해 상담원 자살에 대한 LG유플러스 공식사과를 요청할 것으로 알려졌다. 부당한 노동착취를 유서로 남긴 만큼 LG유플러스도 상담원 자살과 무관치 않다는 설명이다.

김종백 민주노총 전주본부 익산지부 조직국장은 "LG유플러스 실적압박이 협력기업으로 하여금 직원을 압박하게 된 원인으로 본다"며 "협력기업 업무라고 하더라도 LG유플러스 이름을 걸고 하기 때문에 LG유플러스 본사에서 공식사과를 해야 한다"고 꼬집었다.

이와 함께 "본사에서 내려온 몇몇 정직원들 지시에 따라 협력기업 업무는 진행 된다"며 "유서에 나왔던 내용보다 심한 압박이 있었다는 증언들이 나오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LG유플러스 관계자는 "실적압박은 인센티브에 대한 영향일 뿐이지 LG유플러스 본사 지시는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사실조사를 통해서 문제점이 발생되면 개선될 수 있도록 협력기업에 권고하겠다"고 해명했다.

LG유플러스의 또 다른 관계자는 "이씨는 예전 팀장까지 맡았던 인재로 상담원 근무를 그만 두고 사업을 벌였지만, 사업을 접게 돼 다시 복귀한 직원"이라며 "복귀 후 블랙컨슈머를 만나 시달린 것으로 알고 있다"고 부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