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금융여지도] 우리은행 체제 매력 어필, M&A 관심집중… ②지주사 현황

지주사 존속합병 이후 '토종은행' 지속성에 초점, 경기불황 최대 난관

나원재 기자 기자  2014.11.12 18:31:20

기사프린트

[프라임경제] '돈'을 가치와 재산 축적의 대상으로 삼지만, 부지기수의 사람에게 '금융'이란 여전히 어렵다.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금융시장'을 논하자니 벌써부터 머리가 아파올 지경이다. '돈의 융통'이 곧 '금융'이다. 돈을 빌리고 빌려주는 시장을 '금융시장', '해당 기업'을 '금융기관'으로 셈하면 조금이나마 편해질까. 같은 맥락으로 은행과 보험, 증권, 카드회사 등을 먼저 둘러보는 것도 좋은 기회다. 프라임경제 기획 [금융여지도] '우리금융그룹' 두 번째. 그룹의 계열사를 살펴봤다.

이달 초 지주사와 은행 간 합병을 마치고, 은행 체제로 전환한 우리은행의 매각 입찰이 오는 28일 마감되는 가운데 경기불황을 이유로 기대보다 저조한 흥행이 전망된다.

금융위원회는 지난달 17일 양사의 합병을 인가하면서 우리은행 대주주는 우리금융지주에서 예금보험공사로 변경됐다. 이에 따라 관계법령상 별도 승인이 없어도 되는 우리에프아이에스(FIS)와 우리금융연구소를 제외한 우리카드, 우리종합금융의 대주주 변경도 승인됐다.

금융위에 따르면 우리금융지주 민영화 방안에서 지주사의 존속합병으로 진행된 이유는 상장 유지 문제가 크다. 상장법인인 지주사를 존속법인으로 합병해야 상장 상태가 유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비상장법인인 우리은행이 존속법인이 될 경우, 상장을 다시 해야 하는 절차 문제와 과정에서 1년 이상의 거래정지가 발생해 소액주주들의 피해가 예상된다는 까닭도 크다. 당장 해외채권자와 해외지점·법인 등 일이 복잡해지는 측면도 간과할 수 없는 노릇이다.

여기엔 은행이 존속법인이 돼야 역사성과 연속성이 보다 잘 유지될 수 있다는 우리금융지주 등의 의견도 배어있다.

◆계열사까지 꾸준한 성장…중국 자본도 저울질

우리은행 체제로 전환한 그룹은 앞서 지방은행 계열과 우리투자증권 패키지 매각을 완료했지만, 이후 크게 달라진 점은 없다.

지주사 체제 당시 핵심 계열인 우리은행이 지주사 위치에 자리했고, 남은 △우리카드 △우리종합금융 △우리FIS △우리프라이빗에퀴티 △우리금융연구소는 은행 이하 주요 계열사에 위치했다.

지주사 존속합병이라 지분 변동도 별반 차이는 없다. 우리은행은 우리종합금융에 대해 58.15% 지분을 보유해 최대주주에 올랐고, 나머지 주요 계열사도 100%의 지분을 가져 외부 환경에 빠른 대응이 가능한 구조를 갖췄다.

합병 후 자산규모 246조원의 우리은행은 자본 17조2916억원에 BIS자기자본비율은 16.16%에서 14.61%로 조정됐다. 나머지 주요 계열사도 은행 대비 크지는 않지만, 꾸준한 성장세를 보인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BIS는 국제결제은행으로, 'BIS자기자본비율'은 만약의 사태에 대비해 기업이 보유한 돈의 몇 배 이상을 빌려주지 못하도록 국제결제은행에서 요구한 수치다. 일반적으로 8% 이상을 유지해야 안심하고 거래할 수 있다고 본다.

상황은 이렇지만, 우리은행 매각에 따른 민영화는 순탄치 않아 보인다. 은행 인수전에 뛰어들 것으로 예상되는 교보생명을 제외하고는 토종은행 이미지 계승에 강한 의지를 보이는 곳은 전무하다. 중국 안방보험 등 대규모 자금 유입도 예상되지만 국내 정서상 어렵지 않겠냐는 얘기는 벌써부터 돌고 있다.

교보생명도 자체 조달자금이 1조원대로 예상되다보니, 해외 컨소시엄 구성부터 '론스타 트라우마'를 우려하는 시선이 우리은행 노동조합 등 곳곳에서 제기되고 있다.

이유야 어쨌든 컨소시엄 등 한 곳만 입찰에 참여하게 돼도 단독입찰은 무효라는 유효경쟁 원칙은 네 번째 민영화 도전에 큰 걸림돌이다.

지금으로는 다수의 인수의향자가 나와야 여러 상황을 재가며 매각작업을 순조롭게 이끌 수 있다. 입찰 기한을 남겨두고 막판 인수전에 뛰어들 기업이 나타난다면 상황은 보다 흥미로운 구도가 된다.

◆의지 관계당국, 다양한 제안으로 투자자 유혹

금융당국도 그간 세 차례나 매각을 실패한 터라, 이번에는 방법을 달리하고 나섰다. 앞서 우리금융의 경영권 지분(30% 이상)을 일괄 매각하려 했다면, 네 번째 시도에서는 투자차익을 희망하는 재무적 투자 등 모든 투자수요를 포함해 일괄 매각을 한다는 방침이다.

금융지주회사법상 지주사 지배가 어렵다는 점도 이번 합병으로 말끔히 씻었다. 소유규제가 비교적 적은 은행 형태로 매각해 잠재투자자의 범위를 확대한 것이다.

게다가 지방은행과 우리투자증권 패키지 등 증권계열 분리매각 이후 축소된 경영권 지분이 인수희망자에게 부담을 덜어줄 것이라는 논리도 설득력을 더하고 있다.

재무적 투자자가 전략적 투자자와 컨소시엄을 구성해 경영권 입찰에 참여하거나 단독으로 소수 지분 입찰에 참여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해 제시된 콜옵션도 투자자들을 유혹하고 있다.

공적자금관리위원회가 올 초부터 외부전문가 의견을 수렴하는 등 충분한 논의를 거쳤고, 다양한 의견을 청취 후 민영화를 진행 중이라는 점도 바탕에는 자신감이 깔렸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지난 2001년 4월 우리금융지주에 투입된 약 12조8000억원의 공적자금 회수에 따라 진행되는 우리은행 민영화는 현재 약 65% 이상의 회수율을 보이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우리은행 매각 대상은 예금보험공사가 보유한 우리은행 지분 56.97%며, 경영권 지분과 소수 지분 매각으로 나눈 동시 입찰 방식이다. 이 중 경영권 지분은 30%, 나머지 소수지분은 26.97%지만, 콜옵션 행사 대비분 약 9%가 예상돼 실제 소수지분은 17.97%로 계산된다.

매각은 2015년 상반기 종료가 목표로, 경영권 지분 최종입찰대상자 선정과 소수 지분 낙찰자는 올해 내에 추진된다. 이후 경영권 지분은 내년 초 본입찰이 진행될 예정이다. 단, 소수 지분은 최소 0.5%에서 최대 10%까지 입찰 가능하다.

프라임경제 [금융여지도] '우리금융' 세 번째 편에서는 은행 및 주요 계열사 CEO를 둘러싼 이슈를 집중 조명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