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삼성이 '서류전형 강화' 논란을 피하면서 매년 반복되는 'SSAT 대란'을 방지하기 위한 한 수를 둔다. 이번 제도 변경이 신의 한 수가 될지 주목된다.
삼성이 5일 밝힌 3급 신입사원 채용 방식 다양화 방안에 따르면, 직군별로 채용 방식에 독자성이 필요하다는 점을 인정한 개혁 시도다.
이번에 도입되는 직무 적합성 평가는 심층적 에세이를 도입하는 등 창의성 발굴에 크게 초점을 둔다. 직무 적합성 평가를 SSAT 전 단계로 설정, SSAT에 과도한 인원이 쏠리는 일명 삼성고시 논란이 매번 반복되는 사회적 낭비를 예방하게 된다.
연구와 기술, 소프트웨어직군의 경우 전공 능력이 중요하기 때문에 전공을 충실히 이수한 실적, 프로그래밍 개방능력 우수자 검증을 위한 소프트웨어 역량테스트 결과 등을 반영해 SSAT 부담을 크게 줄여준다는 방침이다(소프트웨어 직군은 SSAT를 역량 테스트로 '대체').
영업직의 경우 심층 면접을 도입하는 등 면접방식과 내용 및 시간 등에도 직군별 차별화가 이뤄진다.
이에 따라 총장 추천제 도입 논란 등 일반적 서류 전형 강화에 착수할 것이라는 세간의 예상은 깨졌다. SSAT의 과도한 열기를 부담스러워 한 삼성이 다시 학력과 각종 자격증 등 스펙이 중시될 수밖에 없는 서류 전형 중심으로 돌아갈 것이라는 우려가 불식된 셈이다. 삼성은 전공을 충실히 이수하고 평소부터 자신이 원하는 미래 직업상에 필요한 사항을 성실히 준비해 온 지원자를 발굴하겠다는 점을 분명히 함으로써, 대기업의 채용 방식으로 인한 대학교육 왜곡 가능성을 최소화한다는 방침이다.
또 지방대 배려 등 기존의 '열린 채용' 기조는 이번 창의성 강화 채용 시스템 변화에도 불구하고 그대로 유지된다고 삼성 관계자는 강조했다. 삼성의 사회적 위상과 역할론에 대한 고심을 녹여내면서도, 기업이 필요로 한 우수 인재를 최대한 확보해야 한다는 문제를 기술적으로 해결하려는 고심이 이번 관문 신설인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