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삼성 공채 대수술' 직무적합성평가 새로 도입

임혜현 기자 기자  2014.11.05 10:05:24

기사프린트

[프라임경제] 삼성 연구개발·기술·소프트웨어 직군 지원자의 SSAT 부담이 크게 줄어들 전망이다. 삼성은 채용제도의 대대적 개편을 통해 직무 연관성 발굴에 초점을 두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5일 삼성은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3급 신입 사원 채용 방식 개편 구상을 공개했다. 삼성은 창의적이고 우수한 인재를 확보하면서 미래 경영환경 변화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기존 시험 위주 채용 방식을 직군별로 채용 방식을 다양화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이처럼 직군별 다양한 채용 방식을 도입하려는 이유는 그간의 분석 결과 직군별 성공 요인에 차이가 있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 글로벌 기업 성공사례도 참조, 반영하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첫째로 다양한 직무 역량을 평가하기 위해 직무 적합성 평가가 도입된다. 이는 직무 역량을 중심으로 평가하며, 출신 대학 등 일명 스펙은 일체 평가하지 않는다고 삼성은 전했다.

특히 연구개발이나 기술, 소프트웨어직군은 전공을 충실히 이수한 지원자를 선발하며 영업과 경영지원직군은 직무 적성 위주로 평가해 평소 하고 싶은 직무에 관심을 갖고 성실히 준비한 지원자를 뽑을 예정이다.

이런 만큼 삼성은 SSAT도 다양한 직군별 특성을 반영, 변화시킬 방침이다. 연구개발·기술직군은 전공 충실히 이수한 자에게 가점을 줘 SSAT 부담을 줄여준다.

또 소프트웨어 직군은 SSAT 대신 역량 평가를 따로 도입하며 창의적 인재를 적극 선발하기 위해 창의성 면접도 새로 도입한다. 지원자와 면접위원 간 토론으로 진행될 이 면접은 논리전개 능력과 아이디어를 평가한다. 다양한 직군별 능력 심층평가를 위해 면접 방식과 시간, 내용 등도 직군별로 다르게 할 계획이다.

삼성은 이번 개편 과정에서도 채용 과정 전반에서 학력, 성별 등에 따른 차별 없이 열린 채용을 해 온 기조를 이어간다고 다짐했다. 개편은 지원자들의 준비 기간을 배려, 내년 하반기 공채부터 적용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