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미래창조과학부(이하 미래부)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디지털콘텐츠 원천기술개발사업을 통해 3D프린팅 콘텐츠 제작을 위한 '3D 스캐닝 및 콘텐츠 저작도구' 개발에 성공했다고 4일 밝혔다.
미래부에 따르면 전문가용 핸드핼드형 3D 스캐너 기술은 2000만~5000만원대 외산 장비 대비 10%인 200만원대며, 비전문가용은 스마트폰에 1만~2만원선의 레이저 장치를 부착하는 방식으로 개발된 휴대용 3D스캐너로 가격경쟁력을 확보했다.
또, 전문가 중심으로 활용되는 3D프린팅 콘텐츠 저작도구는 비전문가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저작방식으로 개발됐다. 3D출력물 유효성 체크 및 사전 시뮬레이션을 통해 오류를 보정, 3D 프린팅 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이번 기술은 오는 5일부터 7일까지 일산 킨텍스에서 열리는 '2014년 미래부 성과확산대전'에 전시된다. 전시에 참여하는 이지시스템은 이 기술을 이전받아 3D스캐닝과 저작을 통해 학습 교보재를 3D콘텐츠로 제작하고, 이를 스마트 칠판과 연동해 교사가 수업현장에 활용할 수 있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미래부는 3D프린팅 콘텐츠 스캐닝 및 저작기술을 초등학교 방과 후 활동에 시범 적용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