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윤장현 광주시장 취임식. ⓒ 광주광역시청 |
[프라임경제] '소통과 신뢰의 행정을 이뤄 깨끗한 광주를 만들겠다'던 윤장현 광주시장이 취임 한 달 반만에 위기를 맞고 있다. 윤 시장의 사전선거운동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이 지난 12일 윤 시장의 지지단체와 지지자 A씨의 집을 압수수색한 것.
광주지검 공안부는 13일 윤 시장 지지단체의 사무실과 집에서 사전 선거운동과 관련된 증거물을 압수했다고 밝혔다. 검찰은 이 단체와 A씨가 윤 시장의 당선을 도우려고 사전 선거운동을 했는지, 윤 시장과 공모가 있었는지 등을 규명할 방침이다.
검찰은 수사 내용과 방향에 따라 윤 시장 소환 가능성 열어 둔 것으로 전해져, 윤 시장 사전선거운동 의혹에 대한 수사는 새로운 국면을 맞게 됐다. 또, 최근 논란이 된 박 대통령 풍자 걸개그림 전시가 유보된 데 대해 미술계를 중심으로 비판 여론이 확산돼 시민운동가 출신 윤 시장의 고민은 깊어가고 있다.
광주시는 지난 6일 박근혜 대통령이 박정희 전 대통령 등의 조정을 받는 '허수아비' 로 풍자한 2014광주비엔날레 출품작인 걸개그림 '세월오월' 의 설치를 불허하기로 최종 결정한 바 있다.
윤 시장은 오형국 부시장을 통해 "창작의 자유는 존중해야 하지만 시비가 부담되는 특별전에 정치적 성격으로 보이는 작품을 내거는 것은 맞지 않다"고 말했다. 또 책임자를 문책하겠다고 공식발표했다.
시민운동가 출신인 윤장현 시장이 '세월오월'의 설치에 대해 반대 입장을 보인 것에 대해 지역시민단체와 예술단체는 '예술가의 창작·표현 자유를 침해하는 폭력행위'라고 반발했다.
이에 대한 비난 요론이 확산되자 윤 시장은 7일 '자신의 뜻이 와전됐다'고 시 대변인을 통해 전했다. 그러나 윤 시장은 비엔날레 파행 1주일이 지나도록 '침묵'으로 일관해 이에 대한 비난이 확산되고 있다 .
광주문화도시협의회(공동대표 김병기)는 13일 성명을 내고 "홍성담 작가의 작품 전시 유보 결정은 어떠한 이유로도 정당화될 수 없는 반문화적인 행위"라며 시의 결정을 강도 높게 비난했다. 단체는 이번 비엔날레 파행의 책임자 중 하나로 윤장현 시장을 꼬집었다.
문화도시협의회는 "논란이 불거지자 홍성담 작가의 작품 전시 여부를 광주비엔날레 재단의 전문가에게 위임하여 결정토록 한 것은 광주시의 책임을 모면하기 위한 무책임한 방식이며, 재단의 이사장이 광주시장임을 감안하면 자가 당착에 다름 아니다"라고 짚었다.
또. 윤 시장을 겨냥해 "이번 사태의 단초가 예술가의 창작과 표현의 자유에 대한 광주시의 과도한 간섭으로부터 촉발됐음을 상기하면 모든 책임은 후진적이고 비민주적인 광주시의 문화행정에 기인한 것이며, 광주시장도 도의적인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특히 "광주시는 시의 예산이 지원되었다는 이유만으로 사전 검열을 통해 예술가의 창작과 표현의 자유를 훼손했으며 오히려 정당화하려고 했다. 이는 문화행정의 기본 원칙인 '팔길이 원칙'을 파괴한 것이자, 민선 6기 시정 목표의 하나인 '꿈꾸는 문화도시'를 스스로 부정하는 태도"라고 날을 세웠다.
한편, 비엔날레 참여 작가 13명은 '이번 걸개그림을 오는 16일까지 전시를 안 하면 자산들의 작품을 철수하겠다'는 내용의 탄원서를 13일 윤 시장과 이용우 광주비엔날레 대표이사에게 보냈다.
이에 맞서 광주비엔날레재단은 13일 오후 긴급 기자회견을 통해 "9월16일 대토론회를 열어 논란이 된 홍성담 화백의 '세월오월' 전시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밝혀 사태파장을 둘러싼 입장 차이는 평행선을 달리게 됐다는 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