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한화그룹(회장 김승연) 주력 계열사인 한화케미칼이 13일 오후 석유화학회사 KPX화인케미칼 인수를 위한 본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인수합병(M&A)는 최근 일부 계열사 매각과 신규 사업 인수 등 선택과 집중을 통해 제조분야에서의 핵심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사업구조 개편의 일환이다.
한화그룹이 전개 중인 사업구조 개편은 건축자재 사업 등 비핵심 사업을 정리하고 △석유화학 분야 경쟁력 강화 △태양광 다운스트림(발전사업 등) 분야 다각화 △첨단소재 분야 육성, 3대 사업에 핵심역량을 집중해 그룹의 미래 신성장 동력으로 육성하는 것.
![]() |
||
방한홍 한화케미칼 대표이사(왼쪽)와 양준영 KPX홀딩스 부회장(오른쪽)이 인수 계약 체결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한화 |
이 과정에서 경쟁력이 없거나 시너지가 부족한 사업 부문은 과감히 매각하고 석유화학 및 태양광 사업 부문의 수직계열화를 완성·강화함으로써 관련 사업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한다는 전략이다.
최근 한화 L&C 건재부문과 드림파마를 매각했으며, 호주 태양광업체 엠퍼리얼과 국내 화학업체 KPX화인케미칼 인수계약을 마쳤다. 또한, 자동차 및 전자 소재를 중심으로 한 첨단소재 분야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설비 증설과 해외 업체 인수를 적극 추진하는 등 투자를 아끼지 않겠다는 계획도 짰다.
한화는 이런 사업구조 개편 과정에서 사업체 매각과 GDR(Global Depository Receipts) 및 RCPS(Redeemable Convertible Preferred Stock)발행 등으로 유동성 확보를 통한 재무구조 개선 효과도 거둘 것이라는 기대감을 내비치고 있다. 2020년까지 주요 사업부문에서 세계 일류기업으로 발돋움한다는 꿈을 실현하기 위해 선택과 집중에 기반한 사업구조 개편작업으로 사업핵심역량을 고도화한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 한화그룹 김승연 회장은 지난 2012년 신년사를 통해 "각 계열사는 선택과 집중에 기반한 기업경쟁력을 더욱 고도화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이어 "한화그룹의 주력부문은 10년 후를 내다본 관점에서 자체 핵심역량을 개발해야 한다. 기업의 미래성장성을 냉철한 잣대로 평가하고 원점에서부터 사업구조를 합리화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역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