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우리나라 직장인 10명 중 6명이상은 직장 내 인간관계가 힘들어질 때 술을 가장 많이 마시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문·인터넷·모바일로 구인정보를 제공하는 벼룩시장구인구직(대표이사 백기웅)은 직장인 716명에게 설문조사를 진행했으며 67.6%가 '직장 내 인간관계가 점점 힘들어질 때' 술이 고프다고 응답했다고 8일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이는 '하늘에서 내리는 비처럼 업무가 마구 떨어질 때(19.8%)', '회사에 비전이 보이지 않을 때(12.6%)'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은 수치로 직장인들은 업무나 회사의 비전보다 인간관계에 의한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술을 더 많이 마시는 것으로 보인다.
직장 내 술자리의 안주거리는 역시 '뒷담화'인 것으로 나타났다. 직장 내 술자리의 주제에 대해서는 '상사·동료·후배의 뒷담화'가 47.3%로 1위를 차지했으며 '업무에 대한 우려와 성토'(27.6%)가 그 뒤를 이었다.
퇴근 후 주로 술을 함께 마시는 대상은 직장동료 및 후배가 39.4%로 가장 많았고, 친구가 38.3%로 근소한 차이를 보였다.
성별로 분석했을 때 남성의 경우 술상대로 직장동료 및 후배를 선택한 반면, 여성의 경우에는 친구와 술을 함께 마시는 것을 선호하는 경우가 많았다.
술 값 계산 부분에 있어서는 '무조건 더치페이'를 한다는 의견이 28.8%로 가장 많았다. 이어 돌아가면서 계산(24%), 술자리를 먼저 제안한 사람(20.4%), 상사나 연장자(19.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술 값 계산은 남녀 모두 1순위로 더치페이를 꼽았지만 2순위는 남자의 경우 술자리를 먼저 제안한 사람이 여자의 경우에는 돌아가면서 계산한다고 응답해 차이를 보였다.
직장인으로서 한국 술 문화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는 51.1%가 '상대방의 주량을 고려하지 않고 술을 강요하는 풍토'를 꼽았다. 이어 △1·2·3차 끝장을 보는 것(24.6%) △주량을 업무 능력의 일부로 이해하는 것(17.6%) △위생을 고려하지 않은 술잔 돌리기 △원샷·러브샷 등을 강요하는 애매한 상황(6.7%)의 순이었다.
한편, 직장인들은 1주일에 평균 1.3회 정도 술을 마신다고 답했으며 한 달에 술값으로 5만원~10만원을 지출한다는 응답자가 24.9%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