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기자수첩] 현대·기아차 '제로섬 게임' 우려되는 이유

노병우 기자 기자  2014.08.07 17:39:28

기사프린트

[프라임경제] '통상임금'이 올해 국내 완성차 업체 임금단체 협상에서 최대 이슈로 떠올랐다. 한국GM과 쌍용차는 노조의 통상임금 확대 요구를 사측이 전격 수용키로 하면서 별 무리 없이 합의에 도달한 가운데 현대·기아차로 이목이 쏠리고 있다. 아무래도 '글로벌 기업'이라는 타이틀 때문인지 여느 때보다 시선은 뜨겁기만 하다.

현재 현대·기아차 노조는 통상임금에 상여금을 포함한 것과 관련해 회사에 대한 압박 수위를 높여가고 있다. 노조의 임금과 관련된 요구안은 임금 기본급 대비 8.16%(15만9614원) 인상, 전년도 당기순이익의 30% 성과급 지급, 해고자 복직 등이 있다.

반면, 현대·기아차는 정기상여금 지급기준에 '두 달간 15일 이상 근무해야 한다'는 조건이 있어 대법원이 제시한 통상임금 기준인 '고정성'이 결여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지난 2012년 노사합의에 따라 통상임금 소송을 진행 중인 만큼 소송 결과를 지켜보자는 입장도 혼재한다.

또 최근 급격한 환율 변동으로 비상경영체제에 돌입한 현대·기아차는 통상임금이 확대될 경우 감당키 힘들 정도의 추가비용이 소요될 수 있다는 점은 큰 부담으로 작용한다는 것이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업계에서는 현대·기아차가 노조와 15차례의 교섭을 가졌음에도 이견차를 좁히지 못한 만큼 노조가 여름휴가 후 파업에 들어갈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더욱이 현대차 노조는 1987년 이후 2009~2011년을 제외하고는 항상 파업을 실시했다.

앞서 언급한대로 현대·기아차와 노조의 협상 쟁점은 통상임금 문제인데, 지금처럼 노사가 서로의 목소리만 높인다면 올해 임단협은 9월 추석 전 타결도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물론, 양측 사정이야 알겠지만 통상임금 확대방안에 대해서는 노사 모두가 한발자국도 물러나지 않는다면 파국이라는 결과를 맞게 될지도 모른다. 경영실적 손실은 물론이고, 노조가 파업을 단행한다면 그 영향으로 부품을 납품하는 협력업체들까지도 타격을 입게 된다.

즉, 현대·기아차의 노사 갈등이 확산됨에 따라 피해는 결국 자신들의 몫으로 돌아갈 수도 있는 셈이다.

  이미지  
 
따라서 교섭이라는 것이 어떤 일을 이루기 위해 서로 의논하고 절충하는 자리인 만큼 서로 한발씩 양보하는 자세로 모두가 윈-윈 할 수 있는 미덕을 가지고 임해야 한다.

결국엔 노사가 운명을 함께 하는 관계이기에 서로에게 좋은 것을 찾기 위해서는 더 이상 자신의 주장만을 고집해서는 안 된다. 이번 갈등이 승자 없는 '제로섬 게임'으로 끝나지 않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