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한 달 이상 중국에서 서비스가 차단된 모바일 메신저 카카오톡(이하 카톡)·라인의 서비스 재개 시점이 미궁에 빠졌다. 7일 미래창조과학부(이하 미래부)는 중국 정부가 테러 정보 유통 우려로 카톡과 라인을 차단했다고 발표했으나, 이에 따른 대응책이나 구체적 향후 계획은 빠져 있는 등 미온적 모습을 보였다.
이날 미래부는 중국에서 외국계 모바일 메신저 중 테러 관련 정보가 유통되는 일부 메신저를 차단했는데, 이 중 카톡과 라인이 포함됐다는 것을 중국 정부로부터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진규 미래부 인터넷정책관은 "중국에서 많은 테러를 일으키는 조직들이 주로 동영상 웹사이트·클라우드컴퓨팅·모바일 메신저 등으로 테러를 음모·선동하거나 폭탄을 제조하는 방법을 유포하고 있다"며 "차단된 메신저는 카톡과 라인 외에 Didi·Talk Box·Vower 등이며, 왓츠앱(Whatsapp)은 포함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지난달 1일부터 카톡·라인은 메시지 수·발신 및 회원가입 등 서비스 장애를 나타내고 있으며, 라인은 모든 서비스가 전면 차단됐다. 이 같은 상황에서 미래부가 한 달만에 장애 원인에 대해 밝히고 나섰지만, 구체적 해결방안에 대해서는 제시하지 못했다.
미래부는 서비스 재개 시점에 대해서도 예측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이에 중국에서의 카톡·라인 차단이 장기화될 수도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와 관련 이 정책관은 "현재는 예단하기 어렵지만, 최대한 조속한 시일 내에 해결할 수 있도록 중국 측과 협의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구체적 향후 계획에 대해서는 외교적 문제를 이유로 중국 측과 다양한 채널을 통해 최대한 협의하도록 노력하겠다며 말을 아꼈다.
일각에서는 이번 사건에 대해 중국이 자국 산업 육성 및 보호를 위해 차단 조치를 실시한 것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
이에 대해 이 정책관은 "중국 내에서 텐센트 모바일 메신저 위챗은 가입자 6억명을 넘었지만 라인 가입자는 100만명 이하다"며 "위챗은 중국시장을 독점하고 있고, 텐센트는 카카오의 주요 지주이기 때문에 자국산업 보호 가능성은 낮다"고 반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