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경기도에 소재한 1억원 이하 전셋집이 5년 간 3분의 1 수준으로 감소했다.
부동산써브에 따르면 경기도 소재 아파트 총 186만4790가구 가운데 1억원 이하 전셋집은 26만5387가구에 불과했다. 이는 2009년 78만5952가구 보다 52만565가구 줄어든 수치로, 5년 새 3분의 1 수준으로 감소한 것이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경기도에서 1억원 이하 전셋집이 가장 많이 감소한 곳은 수원시였다.
2009년 6만9444가구였던 수원시 1억원 이하 전셋집수는 2014년 7월 말 시세기준 1만2021가구로 5년 새 5만7423가구 줄어들었다. 그중에서도 주거여건이 좋고, 삼성전자 근로자 수요를 갖고 있는 영통동과 매탄동 물량이 눈에 띄게 감소했다.
영통동과 매탄동에 위치한 1억원 이하 전셋집수는 5년 새 각각 1만2642가구·8289가구 줄어들었다.
![]() |
||
7월 마지막 주 시세기준 경기 전세가 1억원 이하 가구수 추이(단위: 가구). ⓒ 부동산써브 |
이와 관련 김미선 부동산써브 선임연구원은 "일단 주엽동이나 대화동보다 비교적 전세가가 저렴한데다 서울지하철 3호선과 경의선을 이용하면 서울진입이 편리해 세입자 수요가 크게 늘어난 탓"이라고 분석했다.
인근에 시화산업단지가 있는 시흥시 또한 상황은 마찬가지다. 5년 전만해도 1억원 이하 전세물량이 5만9330가구에 달했던 시흥시 전셋집수는 현재 1만7260가구로 4만2070가구 줄었다. 특히 시화산업단지 내 근로자 수요를 둔 정왕동 전셋집수가 5년 새 2만4476가구 감소했다.
이 밖에 분당선 이용이 가능한 용인시가 5년 전 4만6236가구에서 3만9214가구 줄어든 7022가구로 집계됐으며, 이어 △풍덕천동 5787가구 △상하동 3931가구 △상갈동 2666가구 △신갈동 2561가구씩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서울진입이 용이한 남양주시와 의정부시 역시 5년 새 각각 3만8558가구·3만6097가구 감소했으며, 대규모 산업단지가 위치한 화성시와 평택시·안산시 또한 각각 3만5267가구·2만2789가구·1만9756가구 줄었다.
이처럼 경기도 소재 1억원 이하 전세물량이 줄어든 데는 부동산경기 침체로 인한 매매가 하락 불신과 더불어 서울에서 넘어온 전세수요 탓이 커 보인다.
문제는 이러한 추세가 당분간 지속될 것이란 전문가 견해다. 김미선 연구원은 "계속되는 전세난과 저금리에 따른 월세전환으로 저렴한 전세물건 찾기가 더욱 힘들어 질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