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기자수첩] 팬택 해법 '마중물', 왜 이통사 몫인가

임혜현 기자 기자  2014.08.05 16:24:37

기사프린트

[프라임경제] 경영난을 겪고 있는 팬택이 이동통신 3사에 단말기 구매를 호소하고 있으나 이에 이통사들은 난색을 표하고 있다. 

이미 팬택 상거래 채권상환을 2년 유예했기 때문에 추가로 필요한 자금 수혈은 채권단을 통해 추진하는 게 맞다는 게 이른바 '시장 논리'일 것이다. 이미 재고 부담이 큰 상황에서 팬택을 살린다는 명분으로 시장을 왜곡할 수 없다는 게 골자다. 이통사들은 이 시장 논리 뒤에 숨어 있다.

하지만 지금의 재고 폭탄이 올해 초, 이통사 영업정지에서 원인을 찾을 수 있다는 점을 주목하는 이들은 이통사들의 주장이 100% 온당하다고만은 보지 않는다. 영업정지로 거의 새 단말기를 유통하지 못하다시피 했고 그때의 재고가 아직도 쌓여 있다고 하지만, 그 문제는 사실 이통사 잘못을 겨냥한 정책 칼날이 팬택을 찌른 것이라고 보는 게 옳다고 지적한다.

둘 다 옳은 이야기다. 기업이 경영에 실패하고 시장에서 도태될 위기에 처한 책임을 다른 기업이나 국가에 떠넘기는 것은 기본적으로는 옳지 않다. 하지만 팬택이 오늘날 사면초가에 몰린 점은 기형적인 유통 구조와 이를 바로잡으려는 정책의 부작용에 원인의 상당 부분이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 판매량이 당장 늘어날 것을 기약하기 어렵다는 시장 전망만 해도 그렇다. 단말기유통법의 시행이 다가오면서, 시장은 더 얼어붙을 가능성이 있다. 이통사가 당장 팬택의 제품을 사주는 데 난색을 표하는 것도 이런 불안감에 원인이 있다. 그런데 현재 정책 여파로 시장이 변화하는 것은 단말기 교체 주기를 늘려 과소비를 막는 데 정책이 주목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정부 탓만 하면서 팬택 직원들이 직접 단말기를 팔겠다고 나서면 효과가 있고, 또 이것이 근원적 해법이 될 것인가? 그렇지는 않다.

어느 회사의 스마트폰을 사고 팔 때 일반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B2C 시장 모델이라고 보는 것은 사실 맞지 않다. 따져보면 통신사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단말기를 사는 것이고, 이는 단말기 제조사가 통신사와 거래하는 B2B 사업이 몸통이라고 할 수 있다.

  이미지  
 
사정이 이러니, 이런 시장의 부작용을 개선하기 위해 변화를 모색하는 데 따르는 부작용은 그간의 체제에서 이익을 취해 온 주체들이 떠안는 게 맞지 않을까? 팬택 상황의 '마중물'을 부어주고 펌프질을 하는 데 있어 이통사들의 역할을 요구하는 것이 100% 무리로 보이지 않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