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직장인 절반 '재택근무 때 감봉도 감수'

불필요한 시간 활용 vs 회사조직 유대감·결속력 저하

추민선 기자 기자  2014.07.30 09:53:42

기사프린트

[프라임경제] 직장인 10명 중 9명은 재택근무제가 도입된다면 재택근무할 의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응답자의 과반수 이상은 기존에 비해 임금이 줄더라도 재택근무를 희망했다.

30일 신문·인터넷·모바일로 구인정보를 제공하는 벼룩시장구인구직(대표이사 백기웅)이 직장인 822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90%가 '현재 직장에서 재택근무제가 도입된다면 재택근무를 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재택근무 의지는 남성(48.1%)보다 여성(51.9%)이 근소한 차이로 많았지만 남성, 여성 모두 재택근무를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다는 분석이 가능하다.

또한 재택근무 때 기존에 비해 임금이 감소하면 어떻게 하겠냐는 질문에 52.3%가 '그래도 재택근무를 하겠다'고 답변해 '임금이 줄어든다면 기존대로 출퇴근을 하겠다'(47.7%)는 응답을 근소하게 앞섰다.

수용할 수 있는 임금 하락률을 묻는 질문에는 '기존 임금의 10%'를 선택한 응답자가 64.3%로 가장 많았으며 26.4%는 '기존 임금의 20%'라고 응답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기존 임금의 50% 이상'이라고 답한 직장인은 2.2%에 그쳤다. 

재택근무의 가장 큰 장점으로는 30.3%가 '출퇴근 시간 등 불필요한 시간 활용'을 꼽았다. 이어 △회사의 지나친 간섭과 감독이 없어 업무 능률 향상과 사기 증대(29.1%) △탄력적 근무를 통한 노동력 확보로 투잡 가능(23.5%) △가족과 함께 보내는 시간이 많아져 유대관계 강화(13.2%) △업무시간과 장소의 탄력적인 운영으로 출산율 증가(3.9%) 순이었다.

반면 재택근무의 단점으로는 △회사 조직의 유대감 및 결속력 저하(28.4%) △중간과정을 확인할 수 없어 오로지 결과로만 평가 받는 것(16.4%) △회사에 비해 부족한 업무 시설 및 장비(15.9%) △상사의 감독 부재 등으로 인한 업무태만(15.2%) 등을 지적했다.

이동주 벼룩시장구인구직 본부장은 "이번 조사를 통해 재택근무방식을 원하는 직장인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었지만 이에 반해 우리나라에서는 많이 실행되지 않는 것이 사실"이라고 말했다.

이어 "재택근무뿐 아니라 탄력근무제·시간제일자리 등 다양한 근무방식이 도입되려면 경직된 기업문화는 물론 법과 제도 등 정부의 지원적인 부분도 뒷받침돼야 가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