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SK텔레콤(017670·대표이사 사장 하성민)은 주파수묶음기술(CA) 가운데 이종망 묶음 국제 표준기술인 'MPTCP(Multi-Path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를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 |
||
SK텔레콤 관계자들은 30일 분당 소재 SK텔레콤 네트워크 기술원에서 이종망 묶음 국제 표준기술인 'MPTCP'를 테스트하고 있다. ⓒ SK텔레콤 |
이 때문에 MPTCP는 인터넷 관련 기술 표준화 국제기구인 IETF에서 정한 국제 표준기술로 인정받고 있다.
애플도 지난해 말 아이폰과 아이패드 등 스마트기기용 운영 체계인 iOS7에 MPTCP를 적용했다. 애플은 MPTCP를 음성인식서비스인 '시리'와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서버에 탑재했으며 단말과 서버 간 네트워크 안정성 향상을 위해 사용 중이다.
SK텔레콤은 새롭게 개발된 MPTCP를 LTE 망과 와이파이(Wi-Fi) 망을 묶는데 우선 사용할 예정이다. 이 경우, 광대역 LTE-A와 기가와이파이를 묶으면 모바일에서 이론적으로는 최대 1Gbps가 넘는 속도로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이날 SK텔레콤에 따르면 모바일 상에서 광대역 LTE-A와 기가와이파이의 최대 속도는 각각 225Mbps·866.7Mbps로, 두 망을 결합하면 1.09Gbps의 속도 구현이 가능하다. SK텔레콤은 기술 적용이 가능한 협력사의 스마트기기 및 MPTCP 최적화 서버 개발 계획에 맞춰 상용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박진효 SK텔레콤 네트워크 기술원장은 "국제 표준인 MPTCP 개발을 통해 더욱 안정적인 이종망 묶음 사용 환경을 만들기 위한 기반을 확보하게 됐다"며 "지속적인 기술개발을 통해 차세대 네트워크 기술의 진화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