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민선 6기 광주광역시 조직개편안이 시의회에서 부결됨에 따라 윤장현 시장을 비롯한 집행부의 정치력 부재가 도마에 올랐다.
윤 시장이 주도한 이번 조직개편안은 29일 본회의에서 행정기구 조례는 찬성 10, 반대 8, 기권 2로 찬성이 과반을 넘지 못해 무산됐다.
지난 28일 행정자치위원회는 광주시가 제출한 조직개편안 중 자치행정국 소속으로 두려던 청년인재육성과를 현행대로 여성청소년가족관실로 존치하기로 수정해 본회의로 넘겼다.
하지만, 집행부는 시의회가 요구한 참여혁신단과 사회통합추진단의 통합, 안전정책관 소관 변경, 사회적경제지원관 신설은 반영하지 않았다.
광주시는 참여혁신단과 사회통합추진단의 각각 기능이 다르므로 통합할 수 없고, 사회적경제지원관을 신설하면 입법예고 등 행정절차를 거쳐야 하기 때문에 신설은 어렵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또한 안전정책관을 소방안전본부에 두는 것이 타당하는 입장을 밝혔다.
결국 윤 시장과 집행부는 시의회와 타협을 거부하고 자신들의 주장만을 관철시키려 한 셈이다.
조직개편안 무산을 주도한 의원들은 의회가 요구한 내용들이 반영되지 않은 것을 의회를 무시한 집행부의 소통부재와 독단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또, 집행부가 시의회의 요구가 전혀 반영되지 않은 조직개편안 처리를 요구한 것은 "우리가 집행부의 거수기 노릇을 하라는 것이냐"는 강한 반발을 불러왔다.
한편, 시의회가 이날 조직개편안 처리를 거부함에 따라 광주시의 승진 전보인사는 기존 조직을 토대로 단행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