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체크카드 소득공제 확대' 전업계 카드사 깊어지는 고민

"체크카드 늘릴 수 있는 방법 없어" 불만…신용카드 소득공제도 2년 연장

이지숙 기자 기자  2014.07.24 16:21:30

기사프린트

[프라임경제] 정부가 세월호사고 이후 위축된 소비심리를 회복하기 위해 체크카드와 현금영수증 본인 사용실적에 대해 한시적으로 소득공제 혜택을 확대한다는 방침을 전하자 삼성카드, 현대카드 등 전업계 카드사의 고민이 깊어졌다.

기획재정부(이하 기재부)는 24일 체크카드와 현금영수증에 대한 소득공제를 확대하고 신용카드 소득공제 혜택을 2년 연장하는 내용을 포함한 경제정책 방안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2015년과 2016년 연말정산 때 올해 7월부터 내년 6월까지 체크카드와 현금영수증의 본인 사용실적에 대해 한시적으로 소득공제가 확대된다. 기재부에 따르면 고객들은 체크카드·현금영수증 사용액이 2013년 사용액의 50%보다 증가한 금액의 경우 40%를 공제받게 된다. 현재 현금영수증·체크카드는 사용액의 30%를 소득공제받을 수 있다.

신용카드 소득공제는 당초 올해 말 사라질 예정이었으나 추가로 2년 연장돼 향후에도 사용액의 15%를 소득공제받을 수 있게 됐다.

이런 가운데 카드업계는 신용카드 소득공제 혜택 연장에 걱정을 덜게 됐다. 매년 연장된 만큼 어느 정도 예상은 했지만 정부의 결정을 적극 환영했다.

이와 관련 카드사 한 관계자는 "신용카드 소득공제 혜택 유지는 어느정도 예상했지만 향후 2년간 추가 연장돼 한시름 놓게 됐다"며 "정부의 결정을 적극 환영한다"고 말했다.

다만 체크카드 소득공제 확대에 대해서는 은행계 카드사와 전업계 카드사가 상반된 입장을 보였다. 은행계 카드사인 신한·KB국민카드 등은 이번 소득공제 확대가 체크카드 고객 확대 유인책이 될 수 있을 거라는 기대감을 내비쳤다.

은행계 카드사 관계자는 "지난해 사용액의 50%를 넘는 금액은 소득공제 혜택을 40%까지 받을 수 있어 기존에 카드사용을 고민하던 고객들에게는 유인책이 될 수 있을 것 같다"며 "체크카드를 사용하지 않았던 고객들도 한시적으로 체크카드를 쓸 이유가 생긴 것"이라고 제언했다.

이어 "체크카드 활성화 노력은 정부 정책에 맞춰 몇 년간 꾸준히 한 만큼 앞으로도 프로모션 등으로 고객에게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첨언했다.

그러나 체크카드시장에서 힘을 쓰지 못하고 있는 전업계 카드사들의 입장은 다르다. 체크카드시장에서 고객확보에 실패한 삼성·현대·롯데카드는 작년에 이어 또다시 늘어난 체크카드 소득공제율 확대로 고민에 빠졌다. 현실적으로 시장 점유율 확대가 힘든 가운데 체크카드시장은 꾸준히 규모가 커지고 있기 때문.

금융감독원 자료를 보면 올해 1분기 체크카드 시장 점유율은 NH농협카드가 23%로 가장 높은 가운데 차순위는 KB국민카드 20%, 신한카드 17%, 우리카드 15% 등이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은행 계열사가 아닌 삼성카드는 1.17%, 롯데카드 0.9%, 현대카드는 0.24%에 그쳤다.

전업계 카드사들은 정부의 체크카드 활성화 정책 발표 이후 꾸준히 시중은행들과 제휴를 맺으며 체크카드 마케팅을 활발히 진행했지만 사실상 고객확보에 미진한 모습을 보였다.

이에 대해 업계 관계자는 "체크카드는 보통 계좌 발급과 함께 은행 창구에서 이뤄지는데 계열 카드사 체크카드가 아닌 타 회사의 상품을 추천해주는 은행이 있겠냐"며 "현재는 더 이상 체크카드 확대를 위해 할 수 있는 방법이 없는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또 다른 카드사 관계자는 "은행계 카드사들은 체크카드를 확대하면 마켓쉐어(Market-Share)가 늘어나는 장점이 있지만 체크카드가 이윤이 남는 상품이 아니라서 기업계 카드사들은 선택과 집중을 할 수밖에 없다"며 "체크카드시장을 선점하지 못한 만큼 신용카드 로열티를 강화하고 인당 사용금액을 올리는 식으로 수익성 강화에 나서야 한다"고 말을 보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