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중국계 및 시중은행들이 위안화시장 선점을 위해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 특히 외환은행 홍콩지점은 지난 2012년부터 위안화 비즈니스를 준비해 이미 뛰어난 역외 위한화 거래 실적을 시현하며, 축적된 경험을 자랑하고 있다.
외환은행 홍콩지점의 무역금융이 위안화 표시 신용장 발행증가에 따라 홍콩소재 대기업 현지법인 및 중국 현지 글로벌기업 앞 위안화 표시 신용장 수출환어음매입(Nego서비스)를 시작해 올해 6월 말 취급잔액 7억2000만위안(미화 1억2000불 상당)을 기록했다고 23일 밝혔다.
시진핑 중국 주석의 방한을 계기로 연내 원·위안화 직거래 시장 개설, 위안화적격 해외기관투자자(RQFII)자격부여 및 800억위안 한도배정에 합의 등 서울이 위안화 아시아 허브로까지 약진할 수 있는 기회를 확보해 위안화 시장선점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특히 무역금융 및 FX 부문의 전통적인 강자인 외환은행은 홍콩지점을 통해 지난 2012년부터 위안화 거래를 새로운 핵심 비즈니스로 준비해왔다. 이 결과 2013년부터 다양한 위안화 거래를 성공리에 성사시켜 올해 6월 말 기준 9억위안의 자산을 보유하고 있다.
외환은행은 위안화자산 운용 시작에 따라 국내은행 최초로 역외 자금시장을 통한 위안화 차입거래를 시작해 현재 주요 참여자로 활동하고 있다. 작년 11월에는 3억위안(미화 5000만달러 상당) 규모 위안화 정기예금 유치한 것은 물론, 올 5월에도 5억위안(미화 8000만달러 상당) 정기예금 유치에 성공하기도 했다.
현재는 홍콩소재 글로벌 은행들과 미달러·위안화 외국환거래(현물환, 선물환 등)도 활발하게 거래 중이며, 올 4월 한국계 은행 최초로 위안화 표시CD(양도성예금증서, '딤섬 CD') 2억5000만위안 발행에 성공하며 홍콩 역외 위안화 시장에서 한국계 은행 중 선도적 입지를 구축했다.
김한조 외환은행장은 "외환은행은 지난 1967년 1월 한국계은행 최초로 홍콩지점을 개점한 이래 위안화 비즈니스에서도 한국계은행 '최초'를 이어가고 있다"며 "올해 해외사업그룹 및 홍콩지점의 중점사업으로 위안화 비즈니스 확대를 선정하고, 이미 이를 위한 충분한 경험과 준비를 마쳤다"고 말했다.
이어 "이러한 축적된 경험을 바탕으로 국내 위안화시장 선점에서도 유리한 위치를 확보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