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금융감독원(이하 금감원)이 임영록 지주회장과 이건호 은행장에게 중징계를 사전 통보하면서 오는 26일 제재심의위원회에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금감원은 지난 9일 임영록 KB금융지주 회장과 이건호 KB국민은행 은행장에게 중징계를 사전통보했다. 이는 양 당사자에게 사실상 해임 수순이 예상되는 중징계를 사전 통보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그러나 KB국민은행 노동조합(이하 노조)은 금감원의 이번 제재방침이 매우 석연치 않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노조는 관치·낙하산 경영진의 폐해를 지속적으로 지적하면서 책임있는 당사자들의 사퇴를 촉구해 왔다. 이번 사태의 근본적인 원인인 KB금융그룹의 후진적인 지배구조를 철폐하기 위한 'KB지배구조 개선 및 자존심 회복 투쟁'과 다양한 해법을 모색하기 위해 국회 토론회를 개최하는 등 다각적인 노력을 전개해 온 것이다.
이번 금감원의 제재에 대해 노조 관계자는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을 위한 노력에도 불구, 정작 지주사와 은행 간 갈등을 촉발했던 주 전산기 교체와 관련한 시시비비는 제대로 언급되지 않았다"며 "갈등을 일으킨 당사자에게 도의적 책임을 물어 대략적인 제재를 결정한 것 아니냐는 의문을 지울 수 없다"고 말했다.
노조는 이번 사태에서 금감원의 검사 결과와 자체 진상조사를 토대로 지주회장과 은행장을 막론하고 강도 높은 책임 추궁을 이어갈 것임을 수차례 밝힌 바 있다.
이와 관련 노조 관계자는 "오로지 진상 규명에 초점을 맞춘 활동을 펼쳐온 가운데 구체적으로 제재 양형도 명기하지 않은 채 중징계 사전통보뿐인 상황이 이해가 되지 않는다"며 "주 전산기 교체와 관련된 시시비비보다 일련의 사태에 대한 단순한 양비론만이 존재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금융당국은 현 정권의 대폭적인 개각을 앞둔 어수선한 시점에서 조기 중징계를 통해 감독 책임을 전가하고 본인들의 자리를 보전하려 한다는 의혹을 받지 않기 위해서라도 이번 사태와 관련한 각 사안에 대해 잘잘못을 밝혀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재 KB국민은행 노조는 명확한 진상규명을 통해 이번 사태에 대해 지주회장이든 은행장이든 자리를 걸고 분명한 책임을 져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