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세월호 침몰, 그 이후 뭐라 말하기 힘든 시간들이 가고 있다. '끝까지 기다린다'는 의미의 노란 리본들이 물결치는데, 지금도 아직 찾지 못한 희생자들이 있다. 과부, 홀아비, 고아와 같이 다른 가족을 잃은 이를 부르는 표현은 있으나 '자식을 잃은 부모'는 그 심정을 표현할 방법이 없어 부르는 단어가 없단다.
갑작스럽게 꽃 같은 자식을 잃고, 아직도 자식의 시신을 찾지도 못한 그 분들의 마음을 표현할 수도 없다는 고통의 한 가운데에 계시는 그분들의 마음을 어찌 이해한다고, 공감한다고 말씀드릴 수가 있을까. 필자는 오늘도 내 아이들의 웃음을 보고 안아주면서 살고 있는데 말이다.
이런 고통과 아픔을 넘어 지난 시간 동안 세월호의 침몰이 우리 사회의 갖은 부조리들의 끔찍한 결과물이라는 사실들을 확인하며 분노의 마음까지 일었다.
이 사실이 얼마나 유가족들을 더 고통스럽고 아프게 할지, 억울하게 저 세상으로 떠난 희생자들은 어떨지. 우리가 기다렸던 것보다 더 간절히 구조의 손길을 기다렸을 그 아이들의 기다림을 잊지 않고, 이런 기다림이 다시는 없도록, 아이들의 기다림에 진정 답하는 방법이 무엇일지 생각하고 답을 마련하는 것이 우리 사회 모두의 과제다.
필자는 세월호 사태를 바라보며, 유난히도 교육에 대한 생각이 많이 들었다. 선장과 선원들에 대해서 직무 관련 재교육이 이뤄지지 않은, 접수된 안전사고의 종류에 따라 긴급 대응 안내를 하는 교육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문제점들이 커 보였다.
처음 세월호 사건을 접했을 때 '어떻게 선장이 저럴 수 있지?'라는 의문이 먼저 들었다. 선장이 분명 배의 장(리더)인데, 리더로서의 자질을 갖추고 있지 못하고 위기 대응 능력이 전혀 없었음에 대해서 분개했다.
그런데 좀 더 생각해보면서, 위기 대응 능력을 갖추지 못한 선장을 리더로 두고 있는 것이 과연 선장 개인 자질의 문제일까라는 생각이 들었다. 우리 사회가 리더에게 리더로서의 자질을 계속 훈련할 수 있도록 하는 직무 교육 시스템을 갖추고 있는지 묻게 됐다.
우리는 배를 운전할 수 있는 전문적인 기술을 기준으로 선장을 뽑는 시스템을 만들어 놓고, 그 선장에게 몇십 년 동안 어떤 직무 교육을 해왔던가? 선장이 선원법상의 선박 위험 시의 조치의무 자체야 알고 있었겠지만, 실제 위기 재난 상황에서 그 의무를 어떻게 이행해야 하는지 구체적으로 교육받거나 훈련을 받은 적이 있었을까?
만일 필자가 그러한 교육과 훈련이 없이 몇십 년 동안 선장을 해왔다면, 그 상황에서 적절한 위기대응 능력을 발휘할 수 있었을까? 스스로에게 질문해 보니, 나도 자신할 수 없었다. 지금껏 우리 사회가 오로지 선장 개인의 양심이나 판단력에만 의존하고 있었다는 문제점이 여실히 드러난 것이다.
침몰해 가는 배에서 리더의 잘못된 지시에도 불구, 어른과 아이들을 불문하고 너무도 잘 통제를 따랐던 모습에 우리는 더 큰 안타까움을 느꼈다. 모두가 'yes'라고 할 때 'no'를 말하는 것을 수용하는 사회를 만들어왔다면, 그런 온갖 부조리들이 한 통속인 양 지속되기 어려웠을 것 같다. 그런 위기의 순간에 다른 선택과 행동을 제안할 누군가들이 더 많이 있었을 것 같다.
우리는 과연 학교에서 쓸모 있는 지식과 삶의 방식을 배우게 하며 2세대를 키우고 있는지 다시 묻게 된다. 앨버트 아인슈타인은 '스스로 생각하고 판단하는 일반적인 능력을 발달시키는 것이 전문적인 지식을 습득하는 것보다 더 중요하다'고 했다.
우리는 지금껏 그런 일반적 판단 능력이 없이 전문 지식만이 있는 세월호의 선장과 같은 사람들을 양산해 왔다. 우리는 세월호 참사를 통해서 그렇게 잘못 훈련된 리더가 얼마나 많은 사람들의 생명을 앗아갈 수 있는지 뼈저리게 알게 됐다.
밝혀지는 온갖 비리, 부조리의 개선과 함께, 우리 사회 교육 전반에 대해서도 사회적 합의를 통한 변화가 필요한 때다.
사회 각계각층에서 쇄신의 노력들이 이어져, 아이들이 원통하게 떠나가며 확인시켜 준 우리 사회의 과제가 잊히거나 묻히지 않길 바란다. '노란 리본의 봄', 아이들이 우리들의 변화를 기다리고 있다.
김미경 '법무법인 해마루' 변호사 / 한국코치협회 KAC 전문코치 / 서울지방노동위원회 심판담당 공익위원 / 대한변협 일제피해자인권특별위원회 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