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당 vs 인물, 지역 정당 구도 탈피, 중앙 정치 예속화 그리고 유권자 관성의 법칙"
이번 지방선거에 출사표를 던진 영호남의 대도(大都) 부산과 광주의 새로운 변화와 도전을 기치로 삼은 오거돈 후보와 강운태 후보의 상황을 가장 함축적으로 표현한 단어들이다.
결과 부터 말하면 '미완의 완성'이다. 부산과 광주는 풀뿌리 민주주의 상징인 지방선거에서 단 한번도 지역 정당 후보가 패배한 적이 없는 완벽한 영호남의 상징이다.
강산이 두번 바뀌는 시간이 지나면서 지역 기반 정당의 꼬리표를 떼기 위해 수 많은 인물들이 도전했지만 시장의 자리는 결코 만만치 않음을 다시 경험했다.
오 후보와 강 후보는 같은 무소속이지만 출발점에서 다소 차이가 있다.
새누리당의 전폭적인 지원을 바탕으로 '안방 사수'의 서병수 후보와 '환골탈태' 수준의 대변혁을 주장한 오거돈 후보는 초반 서 후보의 독주체제에서 점차 격차를 좁혀가면서 초박빙의 추격전을 연출했지만 결국 '의미있는' 퇴장을 준비하고 있다.
반면, 강운태 후보는 새정치민주연합의 전략공천 지역으로 광주광역시가 지목되는 순간 대혼란의 중심에서 이용섭 후보와의 공동 탈당 이후 '아름다운 단일화'를 이뤘지만 결국 석패를 맞이했다.
이 과정에서 새정치민주연합의 핵심 지도부는 과거 안방이나 다름 없던 광주를 연일 방문하면서 '안철수 체제' 공고화를 위한 정지 작업을 펴는 등 내우외환의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하지만 결과는 영호남 지역 정당의 한계를 넘지 못했다. 여기에는 우리 유권자들의 타성 또한 한 몫 했다는 평가다.
선거 이전 각종 여론조사의 무용론이 나오는 이유 중 하나가 최근 몇몇 선거를 분석해 보면 큰 결함이 없는 한 기존 지지 정당과 인물에서 유권자들의 기존 표심이 이동하는 비율이 현저히 낮다는 점이다.
아직까지는 타성과 현실의 벽이 그만큼 높다는 의미로 해석되는 대목이다.
특히 지역 정당 정치에 익숙한 부산과 광주라면 변화의 속도는 수도권과 비교하기 힘들 정도로 경직화됐다는 점에서 중앙 정당 정치의 예속화에 대한 우려 또한 함께 나오고 있다.
지난 몇 번의 지방 선거는 중앙 정치인의 지역 기반 공고화 내지 공천을 통한 항구적 예속화라는 문제를 안고 왔다. 이번 선거 역시 공천 개혁을 위해 많은 노력이 있었지만 무력화 된 것 역시 중앙당의 입김이 지방 자치의 근간을 흔들 수 있음을 방증하는 대목이다.
중앙당의 입김으로 능력 보다 인기 영합을 통해 '벼락 스타 탄생'을 보여준 몇 번의 지방선거를 통해 향후 지방선거에 제도 개선과 유권자들의 인식전환 필요라는 새로운 과제도 남겼다.
비록 안타까운 퇴장을 맞이한 오거돈, 강운태 후보의 도전과 이들을 지지한 유권자들의 소중한 한표가 의미 있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