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KB국민은행(은행장 이건호)은 올해 5월 아파트와 연립주택의 가격 상승세가 하락전환하고, 단독주택의 경우 상승세를 키워, 대조적인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고 설명했다.
KB국민은행은 26일 부동산정보사이트를 통해 올해 5월 주택시장 동향을 조사한 결과, 5월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이 지난 4월대비 0.03% 하락하며, 1월 이후 4개월 연속 상승세를 마감, 하락 전환했다고 밝혔다.
구별로는 용산구가 전월대비 0.18%, 강서구 0.08%, 금천구 0.08% 순으로 하락했으며, 강남 3구인 서초구, 강남구, 송파구가 각각 0.06%, 0.05%, 0.02%로 전체적으로 하락세를 면치 못한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 연립주택도 전월대비 0.01% 하락, 강북지역은 0.04% 떨어지며, 하락세를 주도했다.
이는 △봄철 이사수요 마무리된 것과 동시에 △'주택임대차 선진화 방안'발표로 인한 투자심리 위축 △강남지역 주요 재건축 단지의 가격 하락 △용산 국제업무지구 무산 등에 따른 영향으로 매물적체가 심화됐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서울지역 단독주택의 경우, 전월 대비 0.08% 상승해 아파트, 연립주택과 대조적인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단독주택의 경우, 지난해 12월부터 6개월 연속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는 것은 물론, 전월 0.04% 상승대비 상승폭도 확대됐다. 지역별로는 강남지역이 0.15%, 강북지역 0.03%로 상승세를 기록했다.
KB국민은행 관계자는 "서울 단독주택의 경우 5월 평균 매매가격이 6억3872만원, 1월 평균매매가격 6억3493만원보다 0.6% 상승했다"며 "고가 및 대형 규모로 거래가 빈번하지는 않지만, 지가 등의 영향으로 가격이 꾸준하게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5월 서울 아파트 전세가격은 전월대비 0.09% 올랐지만, 올해 1월부터 4월까지의 월평균 상승률 0.67%에는 훨씬 못 미쳐, 서울 아파트 전세가격은 상승세가 진정되고 있는 모습이다.
특히 서울 25개구중 강서구 0.18%, 금천구 0.08%, 동작구 0.07%, 강동구 0.06%가 감소, 강남구 0.02%, 서초구 0.04%, 송파구는 0.04%가 하락했다. 지속적인 전세가 상승 행진을 멈추고 전월대비 하락세를 기록했다.
그는 "5월을 맞아 전세시장에 계절적 비수기가 도래했으며, 신규입주 물량이 늘어나 전세가격이 안정되고 있다"며 "직장인 및 신혼부부들의 선호대상인 중소형 위주로 거래가 이뤄지고 있지만, 대형 전세시장은 하락추세에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