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정부가 창조경제 정책기조에 따라 벤처 중소기업 투자를 확대함에 따라 신기술금융업계의 신규 투자가 역대 최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신기술금융사의 신규투자는 9156억원으로 2012년 투자액(5857억원)보다 56.3% 증가했다.
이 신기술금융사들의 신규 투자업체는 2012년 216개에서 지난해 355개로 139개 늘어났다. 이는 2011년에 기록한 신기술 투자액 최고치(6146억원)를 크게 상회했다.
금융위원회에 신기술금융업으로 등록한 40개사 가운데 한 번이라도 투자 실적이 있는 회사는 19개로 지난해까지 투자잔액은 944개 업체에 총 1조8522억원이다. 이는 2012년 1조4690억원보다 26.1% 증가한 수치다.
협회 관계자는 "투자실적 상승은 정부의 창조경제 정책기조로 벤처 중소기업 투자를 확대함에 따라 나타난 효과로 평가한다"고 설명했다.
신기술금융사는 자사의 자본금에 의한 자체 투자뿐 아니라 타사와 신기술투자조합을 결성해 펀드를 운영하면서 자금을 조달하기도 한다.
현재 운용 중인 신기술투자조합은 70개에 2조6502억원 규모다. 지난해 13개 신기술투자조합이 신규로 결성됐으며 약정 금액은 3196억원에 달한다.
지난해 신기술사업투자조합이 7년 미만의 초·중기단계 기업에 투자한 비중은 38.2%로, 2011년(34.5%), 2012년(37.7%)에 이어 3년 연속 상승세다.
신기술투자조합에 대한 한국정책금융공사, 한국벤처투자, 연·기금 등 정책기관의 출자비중이 2011년 33.1%에서 지난해 43.3%로 10.2%포인트 상승했다.
반면, 일반법인의 출자비중은 2011년 41.6%에서 지난해 33.8%로 7.9%포인트 하락했다.
정부 정책성 자금 출자가 대폭 확대되고 있는 것에 비해 민간자금의 유입은 상대적으로 정체하면서 정책자금에 대한 투자의존도가 심화하는 양상이다.
협회 관계자는 "민간자금 유입을 확대할 수 있는 세제지원책 마련 및 성장단계별 지원체계 구축을 위한 자금지원 대상기업 확대 방안 등에 대해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부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