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문기)와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회장 박용현)는 19일 현재 국내 기업이 운영하는 기업부설연구소 수가 3만개를 넘어섰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1981년 7월 과학기술처가 '기업부설연구소 설립 신고제도'를 도입하고 같은 해 53개 연구소를 인정한 후 33년만이다. 국내 기업부설연구소는 △1991년 1000개 △2004년에 1만개 △2010년 2만개 △2014년 5월 3만개로 급증해 왔다.
이에 대해 미래부 측은 "기업부설연구소 3만개 시대는 기업에서 기술개발이 보편화되고, 국가과학기술혁신에서 기업 연구개발(R&D) 위상이 크게 높아졌음을 의미한다"고 평가했다.
2012년 기준 전국 5인 이상 제조업체 수는 약 13만개로, 이 중 약 23%가 일정 연구인력과 연구시설을 갖춘 기업부설연구소를 운영하고 있다. 또 국내 전체 R&D 지출에서 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제도 도입 당시인 1981년 56% 수준에서 2012년 75%로 높아졌다.
기업부설연구소가 3만개를 넘어서게 된 것은 기업들의 연구개발 확대 노력과 함께 기업부설연구소에 대한 정부지원 확대에 따른 것이다.
기업부설연구소는 R&D 조세감면·연구개발자금 등을 지원받게 되는데, 지난해 기업이 받은 R&D 조세감면은 3조1976억원, 정부 R&D사업을 통한 자금지원 규모는 3조4193억원에 이른다.
기업부설연구소가 1만개에서 3만개로 증가한 내역을 살펴보면, 중소기업 및 지식기반서비스분야 연구소와 수도권 지역의 연구소 증가 등이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 부설연구소 수는 2만8353개로 1만개 시점의 9121개에 비해 1만9232개 증가했다. 지식기반서비스분야 연구소 수는 6292개로 같은 시점의 913개에 비해 5379개 늘어났다. 수도권 지역 기업부설연구소 수는 1만2381개 많아진 1만9554개다.
정부는 인정받은 기업부설연구소를 대상으로 연구역량을 평가해 우수 기업부설연구소로 인증하고 차별적 지원혜택을 부여하는 '우수 기업부설연구소 인증제'를 도입할 방침이다.
또한, 지난 4월15일부터 본격 운영에 들어간 '민간 R&D 정책 소통 센터'를 통해 산업계 R&D 현장의견을 상시 수렴해 정책에 적극 반영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