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누리플랜(069140)이 경영권 분쟁에 휘말린 가운데 표면에 드러난 문제 외에도 누리플랜 내부에 복잡하게 얽혀 곪아온 갈동의 내막이 함께 부각되면서 관심이 쏠리고 있다.
누리플랜은 이상우 전 대표이사와 장병수 현 대표이사가 서로 경영권이 있다고 주장하면서 팽팽히 대립, 분쟁이 법정공방으로 비화될 상황에 직면해 있다.
여기에 경영권을 넘기고 받는 과정에 갈등이 생기면서 주주총회 자체가 논란이 되자 이 전 대표는 장 대표가 주도한 주주총회에 대해 무효소송이 제기됐고, 업무방해 부분 때문에 양측이 형사 문제로도 얼굴을 붉히게 될 전망이다.
결국 이번 분쟁이 영업권 및 주식을 넘기고 받는 와중에 불거질 수 있는 정상적 패턴의 분쟁인지, 혹은 적대적 기업 사냥에 의한 분란에 가까운지는 신뢰성 문제로 귀결될 지 예단하기 힘든 상황.
즉, 관건은 누리플랜이 이전에는 정상적 기업활동으로 내실을 다지며 걸어온 건실한 업체인지 여부라 할 수 있다. 하지만 근래의 흐름만 놓고 본다면 그렇지 못하다는 평이 지배적이다.
누리플랜은 내홍을 겪으면서 지난해 10월부터 총 3차례나 대표이사가 바뀌기도 했다. 지난해 10월2일 누리플랜은 <이일재, 이충우 각자대표>에서 <이일재 대표이사 체제>로 변경됐다고 공시했고 그해 12월 경영의 효율성을 증대하기 위해 <이일재, 이상우 공동대표 체제>로 바꿨다고 공시했다. 이후 금년 들어 <이상우 대표이사로 바뀌었다>고 다시 공시했다.
짧은 시간에 수 차례 주요 공시사항을 변경해 온 이상우 체제가 무리없이 경영 판단을 진행해 회사를 이끌어 왔다는 추정에는 일단 우려의 시선을 보낼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회사 내외에서는 장씨와의 M&A계약을 조건으로 자신의 회사가 적자될 것을 예상하고 주식을 장씨에게 매각한 게 아니냐는 해석을 제기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는 상황으로 사실상 복마전에 가까운 형태를 띄고 있다.
실제로 이상우 체제는 이상우 대주주 체제라고 불러도 큰 무리는 없는 상황에서 대주주 전횡 비판을 제기하는 주장이 제기돼 이번 분쟁이 이미 오래 전부터 혼란스럽던 회사와 경영 패턴으로 어느 정도 예비돼 있었던 면이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이상우 대주주에 대한 도덕적 문제를 걸고 나온 이는 다름 아닌 이일재 전 대표이사로 누리플랜 경영권 분쟁이 쉽게 넘길 사안이 아님을 엿볼 수 있다.
이일재 전 대표는 최근 성명서를 통해 "10년 이상 누리플랜 대표이사로 직무를 수행해 왔고 최근 이러한(경영권 분쟁) 사태가 일어난 연유를 설명코자 한다"며 운을 뗀 후 "장병수와의 M&A계약을 조건으로 자신의 회사가 적자가 날 것을 예상하고 주식을 장병수에게 매각하고 개인의 부를 축척해 왔다"고 주장했다.
이어 이씨는 "주주들의 피해를 가만히 보고 있을 수 없었다"며 "회사 직원들은 내가 사임한 이후 (그 사유에 대해) 궁금해 할 텐데 나에게는 자존감과 한 회사의 대표로 재직한 자로서 직원 주주들에 대한 무거운 책임감도 가지고 있기에 이럴 수밖에 없었음을 알린다"고 덧붙였다.
이러한 상황 흐름에서 볼 때 회사의 핵심 기둥으로 한때 역할을 했던 이일재 전 대표의 주장은 그 자체만으로도 이번 분쟁이 어느 한쪽의 주장만 들어 해결하기엔 어려운 기업의 구조적 문제라고 볼 수 있다.
결국 이상우 대표와 장병수 대표의 경영권 분쟁만이 아니라 이전의 많은 경영적 실책과 이번 계약이 어떤 목적으로 추진됐는지를 모두 함께 판단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아울러 주총 무효 논란 역시 절대적으로 효력을 배척할 것인지 혹은, 경영 판단상의 ‘긴급 피난’같은 부득이한 조치로 정당화할 것인지부터가 흥미로운 사안이다.
겉으로 보기엔 불법성이 있는 것 같으나 전체적 맥락에서 공평과 선에 부합하는 쪽으로 가기 위해 부득이한 일이었다고 보는 시각도 상존하는 상황에서 향후 누리플랜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는 대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