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한때 삼성전자에 근무하던 이들을 떼어내 ODD 전문 합작사로 분리한 TSST 문제가 세간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TSST 논란을 둘러싸고 합작사라는 틀을 악용한다는 지적이 없지 않은 가운데, 현대차와 다임러간 합작 추진 역사가 비교 대상으로 거론돼 눈길을 끈다. = 임혜현 기자 |
어쨌든 전적 서류 처리를 했고 400여만원설과 기본급의 500%설이 갈리지만 격려금을 받은 이상 삼성전자로 돌아오겠다고 요구하는 건 무리라는 해석도 나온다.
그러나 액수가 많고 적음이 문제가 아니고 노조가 없어서라는 호사가들의 이야기도 나돈다. 실제 TSST 직원 중 일부는 제대로 된 대응이 어렵다는 판단 하에 노조 설립을 위한 본격 행동을 나선 것으로 1일 알려졌다.
노조가 있으면 합작사로 전적을 하더라도 일이 제대로 안 되는 경우 이를 근로자에게 유리하게 풀 수 있을까? 답은 '그렇다'로 보인다.
◆동상이몽이 결국 현실로…
현대차는 독일 카메이커인 다임러와 합작을 추진하다 어긋난 적이 있다. 전주공장을 상용차 합작의 주요 무대로 만들겠다는 이 야심찬 구상은 그러나 다임러가 중국 기업과 손을 잡는 등 양측의 불협화음으로 결국 2004년 청산의 길로 접어들었다.
그런데 이 문제는 외국 기업과 한국 자동차사간의 문화적 이질감과 실질적 협력 과실 획득 실패라는 점에서 볼 것만은 아니다. 이에 대해 2000년대 초반 현대 일가는 물론 우리 재계 전반을 달군 왕자의 난과 연관이 없지 않다는 풀이가 뒤따른다.
정몽구 현 현대차그룹 회장이 고 정주영 회장과 고 몽헌 전 현대그룹 회장 등에 맞서기 위해(방어력 증강) 외국사의 협력을 끌어들였다는 해석론이다.
어쨌든, 기업의 발전 신성장 동력 마련 부수적으로는 오너 일가의 문제로 인해 합작사로 이동하게 된 전주공장 직원들로서는 불만이 없을 수 없었는데, 이를 무마하기 위해 제시된 것이 약 200만원가량의 전적 위로금이었다. 즉 일부 현금과 일부 자동차 구입시 할인특혜로 구성된 것이다.
◆경영판단 vs 도의적책임
논리적으로만 보면 전적 약속과 전적 위로금(혹은 격려금으로도 혼재해 사용. 구분해 부르는 입장도 있음)을 받았으니 후의 처리 문제 더욱이 '경영판단'에 노동자측의 입김이 클 것으로 보기 어려울 수 있다.
하지만 실제 처리 경과를 보면 합작이 결국 무산되자 MK 등 그룹 고위층 사과와 전적 근로자 고용 문제 등을 놓고 현대차 노조를 중심으로 거센 항의를 하는 상황이 됐다. 형식논리와는 별개로, 기업 수뇌부의 논리에 따라 불안정한 지위를 근로자들에게 강요하는 합작사 문제가 불거졌으니 결국 회사 측 책임이라는 지적이 받아들여진 셈이다.
이 같은 현대차와 다임러 합작 실패 역사는 한때 전자업계의 기린아였던 ODD를 둘러싼 전쟁에 동원됐던 TSST 문제에도 시사점이 없지 않다는 지적이다. 이제 사양길에 접어든 미운오리새끼 평을 듣고 있을 망정, 합작사 TSST를 출범시켰던 삼성전자에 어느 정도의 도의적 책임을 요구할 것인지를 놓고 많은 이견들이 갑록을박하고 있는 것도 이 문제 자체가 간단찮음을 방증하는 요소라고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