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최근 국내자동차시장에서 뜨거운 감자 중 하나는 친환경차인 전기자동차(이하 EV)다.
정부는 그간 공공기관 중심으로 보급된 EV를 올해부터 민간에 대폭 확대 보급한다는 결정을 내리면서 각종 혜택을 내놓고 있다. 여기에 국내·외 완성차 업체들 역시 디자인과 성능을 겸비한 EV를 시장에 쏙쏙 선보이는 등 시장규모와 차량선택의 폭을 넓혀가고 있다.
이런 가운데 EV만을 대상으로 한 세계 최초 EV박람회인 '제1회 국제전기자동차엑스포'가 최근 제주도에서 열려 5만명에 가까운 관람객이 방문하는 등 EV가 대중화에 성큼 다가섰다는 것을 방증하기도 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본격적인 EV시대는 아직 길이 멀다고 말한다. 고가의 배터리를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만큼 비싼 가격을 비롯해 충전시간 및 충전인프라 부족, 짧은 주행거리 등 EV 활성화까지 풀어야 할 숙제가 적지 않기 때문이다.
물론, 가격경쟁력은 정부와 지자체가 발 벗고 적지 않은 예산을 지원하면서 EV를 구매할 때 최대 2400만원의 보조금과 각종 혜택을 지원해 실제 구입가격은 일반 대중연료 모델과 비교해 얼마 차이가 나지 않는 상황이다.
그러나 일정 수준의 가격경쟁력을 확보한 것을 제외하면, EV는 여전히 시장에서 적극적인 구애를 받지 못하고 있다. 바로 충전 인프라가 충분치 않아서다.
현재 완전충전까지 약 5시간 정도 소요되는 완속충전기를 20분 전후로 충전할 수 있는 급속충전기로 대체하는 일이 시급한 것이다. 무엇보다 국내에서는 1회 충전으로 주행 가능한 거리가 대부분 150㎞ 미만이다. 따라서 언제 어디서나 쉽게 충전할 수 있는 인프라를 갖추는 것이 중요한 숙제다.
환경부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전국에 전기차용 충전기는 모두 1962대가 설치됐다. 이 가운데 급속충전기는 177대, 완속충전기는 1785대일 정도로 급속충전기의 보급이 미미한 수준이다. 이마저도 차종별로 충전방식이 달라 실제로 사용할 수 있는 충전기는 제한적이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국내·외 완성차 업체와 EV 관련 업체들은 제주도를 우선 공략하고 있다. 앞서 언급한 대로 EV가 배터리 용량상 한 번 충전해서 달릴 수 있는 거리가 150㎞ 미만인 만큼, EV가 주행하기 좋은 곳이 제주도이기 때문이다.
다만 제주도를 제외하면 EV 보급은 여전히 추상적이다.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 지역에서의 인프라 확충과 정책 개발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
이처럼 EV가 국내에서 판매를 시작한 지 2년이 지났지만 시장 형성이 늦었던 탓이었을까? 여전히 국내의 경우 해외와 달리 EV 전용 플랫폼도 없고, 판매량도 정부 목표에 도달하지 못하고 있다.
게다가 아직 제대로 된 인프라도 구축되지 못한 상황에서 EV를 구입하는 것은 섣부른 선택이 될 수 있다는 소비자들의 입장과 수요에 대한 확신이 없는 상태에서 막대한 자금을 쏟아 부을 수 없는 국내 완성차 업체의 입장은 '평행선'을 유지하고 있다.
전문가들의 관측이 허사가 되지 않도록, 아울러 환경을 살리려는 기업의 노력을 대내외에 널리 알릴 수 있도록 제대로 된 계획과 성장을 바탕 삼아 미국과 중국처럼 EV를 국가전략산업으로 키우려는 정부와 기업의 보다 과감한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