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시간제일자리 창출 "대기업은 열심, 中企는 부담'"

중기, 도입 의사 세 곳 중 한 곳 불과… 53.8% 개념도 몰라

하영인 기자 기자  2014.03.20 17:28:49

기사프린트

[프라임경제] 박근혜 대통령이 고용률 70% 달성을 위한 일환으로 시간제 일자리 양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최근 통계청이 발표한 2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15~64세 고용률은 64.4%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월 대비 1.7% 상승한 수치지만 일각에서는 고용률 목표달성을 위해 양질의 일자리가 아니라 일자리 창출에만 신경 쓰는 게 아니냐는 우려 섞인 목소리도 나온다.
 
이런 가운데 솔선수범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위해 노력 중인 대기업들이 하나둘씩 늘고 있지만, 중소기업은 비용·생산력 저하 등의 문제를 꼽으며 부정적인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 해결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필요한 자' 위한 시간제 일자리… 전문직군까지 폭넓게
 
일자리 창출을 위한 대기업들의 움직임이 활발하다. CJ는 지난해 7월 경력단절 여성을 대상으로 리턴십 제도를 시작했다. 경력단절 여성의 성공적인 재취업을 돕고자 마련한 맞춤형 인턴제도로 여성에게 맞는 시간제, 전일제 일자리를 늘리자는 취지다.
 
특히 다른 기업의 시간제 일자리가 대부분 계산원, 콜센터 상담사, 매장관리 등 지원성 업무인 데 비해 CJ는 디자인, 인사, 마케팅 등 전문직군에도 시간제로 일할 수 있는 일자리를 마련했다.
 
이번 리턴십 2기는 △품질 분석·약사·간호사·변리사·글로벌 소싱·식품연구개발(CJ제일제당) △베이커리·외식 연구개발(CJ푸드빌) △웹디자인(CJ E&M) △브랜드 디자인·법무·웹 운영관리(CJ CGV) 등 11개 계열사 총 24개 직무에서 136명의 재취업자를 뽑는다.
 
이마트도 일자리 나눔 강화를 위해 나섰다. 올해 약 360명의 장애인을 채용할 계획이다. 특히 이마트는 계산원 직무에 한정해 채용하던 기존 방식과 달리 진열판매, 검품 등으로 직무를 확대해 선택의 폭을 넓혔다. 
 
아울러 기존 시간제 근무자 채용에서 정규직 채용으로 고용 안정화를 높이고 전일 근무가 어려운 장애인일 경우에는 시간제 일자리로 채용한다는 복안을 세웠다.
 
◆중기 "비용부담·생산력 저하될 것"
 
시간제 일자리에 대한 중소기업의 입장은 다소 부정적인 편이다. 지난 11일 중소기업진흥공단이 1500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시간제 일자리 도입 여부를 조사한 결과 '도입의사가 있다'는 답변은 35.6%에 불과했다. 과반수인 53.8% 업체들은 시간제 일자리가 무엇인지 개념조차 파악하지 못한 상태였다. 
 
이들 중소기업 중 56.1%는 '인력 부족을 느끼고 있다'고 답했는데, 절대적 부족을 느낀다는 기업은 10.6%, 다소 부족하다는 중소기업은 45.5%였다. 시간제 근로자 채용을 고려할 법도 하지만 정작 현장에서는 시간제 일자리에 부정적인 반응이 주를 이뤘다.
 
도입에 부정적인 입장을 전한 업체에 이유를 물은 결과 '생산현장의 사정상 비현실적'이라는 답변이 49.2%로 가장 많았다. 시간제 근로자가 필요하지 않다는 견해 중에서는 "생산설비 인력 비중이 높은 중소기업들은 오래 일할 수 있는 숙련인력이 필요한데 시간제 일자리를 창출하면 그만큼 생산성이 하락할 것으로 짐작되기 때문"이라는 의견도 있었다.
 
이어 '임금 대비 성과가 불확실하다'는 답이 28.7%로 뒤를 이었고 '기존 직원과 위화감 조성이 우려된다'는 답도 13.3%나 됐다. '경영 여건상 인건비가 부족하다'(12.3%)는 의견도 예상보다 많았다.
 
이는 올해 통상임금의 범위가 확대되며 기업의 인건비 부담이 늘어 대기업보다 규모가 작은 중소기업들은 이에 따라 신규채용도 여의치 않은 상황에 몰렸기 때문인 것으로 진단된다. 여기에 근로시간 단축이 논의되는 점 또한 부정적인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분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