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6.4지방선거가 2개월 앞으로 다가왔다. 이번 선거는 광역단체장부터 기초의원까지 다양한 선출직을 뽑기 때문에 이전에도 그랬듯이 누구를 교육감으로 뽑을 것인가에 대해서는 별로 관심이 없다.
후보자들을 일일이 검토하는 것이 쉽지 않을 뿐더러 특히 현 교육감을 제외한 다른 후보자들의 인지도는 그리 높지 않아서 과연 누구를 뽑을지 막막한 현실이다.
필자는 한평생 교육의 외길에서 정년한지 벌써 수년이 지났다. 이 땅의 교육현장이 흔들리고 교권이 박살나고 공교육이 사교육 앞에 맥을 못 추는 꼴을 보면서 '바람직한 교육감을 뽑는 기준은 무엇일까?'를 고민해봤다.
첫째, 교육감 출마자의 교육정책은 교육현장의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의지가 있는가를 살펴야 한다. 교육정책 공약이 표를 얻기 위한 실현가능성도 없는 '인기영합 위주(populism)'의 검증되지 않은 교육정책 공약은 아닌지 또한 오늘날 교육현장은 입시 경쟁위주의 교육으로 공교육이 사교육 앞에 맥을 못 추고 병들어 있는데 그에 대한 해결책을 확실하게 제시하고 있는지 등의 실천 가능성을 따져야 한다.
둘째, 교육감은 현장교육의 경력자로서 교육의 전문성 신장과 교권존중 풍토를 위한 특단의 처방과 원만한 인격을 갖춘 인물이어야 한다.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능가할 수 없다'는 만고의 진리는 교육감의 역할 수행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현장교육 경력이 필수적이다.
지금교육현장에서는 교권이 무너지고 있다. 학교, 국가, 가정으로 부터 보호받아야 할 미성숙한 학생들에게, 의무와 책임 타인 배려의 정의적 교육에 앞서 인권 보호를 강조하니 학교 현장은 무질서의 장이 됐다. 교사의 교육적 사랑의 회초리마저도 폭력으로 매도돼 교권은 박살나고 있다.
때문에 교사가 자긍심을 가지고 교단에서 교수활동을 할 수 있는 교권존중 풍토와 교권회복을 위한 정책공약을 확인해야 한다.
셋째, 교육에 보수와 진보가 따로 없다. 교육감은 전환된 사고로 교육의 구성원 전체를 아우를 수 있는 통합의 리더가 있는 지 확인해야 한다. 급진적 사상가나 투사, 그리고 선거공신들을 각별히 챙기는 관료 형이나 말 잘하는 정치가 스타일보다는 전환적 사고에 기인한 교육 관련 교직단체와 학부모단체와의 원만한 관계형성은 교육발전의 필요충분 요건이다.
그러나 교육감이 자기중심의 잣대로 청렴을 빙자해 평생을 몸담은 교직자를 부정부패자로 내몰아 교권말살의 아픔을 줄 수 있는 사람은 아닌가도 살펴야 한다.
넷째, 청렴결백과 참신성 있는 올곧은 인품의 소유자라야 한다. 교육계의 수장이 되려고 하는 사람이 돈을 좋아하고 명예를 좋아하고 생색내기를 좋아한다면 안 될 일이다. 교육감의 인사권은 막대하다. 또한 교육과 관련해 이권사업들이 즐비하게 널렸지만 그 유혹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뱃심이 있어야 한다.
김장용 전 전남교총 회장. ⓒ 프라임경제 |
결론적으로 교육감이 될 사람은 교육관이 투철하고 청렴결백해야 한다. 아울러 교권존중 풍토조성으로 인간관계에서 전환된 사고를 바탕 삼아 교육현장의 다양한 경험과 집단의 조직을 관리할 수 있는 위기관리능력이 탁월하고 학생, 학부모, 국가사회가 필요한 교육을 위해 신명을 바칠 멋진 후보자를 교육감 자리에 앉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