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기고] 김치 한자이름 "신치(辛奇)냐 진치(金琦)냐"

박종철 순천대 한약자원개발학과 교수 기자  2014.02.13 10:49:15

기사프린트

[프라임경제] 김치의 한자 이름이 없다는 이유로 중국사람들은 우리 김치의 정통성을 부정하는 발언을 예사로 내놓는 일이 발생한다.

"1500년 전 쓰촨(四川)성에서 만들어진 파오차이가 한국으로 넘어가 김치가 됐다"고 주장하고 "한국이 남아공 월드컵을 통해 쓰촨의 전통발효음식인 파오차이를 흉내 낸 김치를 세계에 홍보하고 있다"는 어처구니없는 보도를 하기도 한다.

중국은 파오차이(泡菜)와 자차이(菜)가 김치의 원조라면서 한국 김치를 모방품으로 폄하하려는 주장을 한다. 이 같은 일이 일어나는 이유는 중국에서는 반드시 한자 이름이 필요하다는 문화적 차이를 우리가 인식하지 못해 김치가 애당초 한자 이름을 갖지 못했던 데에 기인한다.

즉 김치가 중국에서는 처음부터 그들의 절임채소인 '파오차이'로 소개됐기 때문에 생겨난 결과다. 김치가 중국의 절임식품으로 오해받거나 중국 절임식품의 모방품으로 불리는 일은 막아야 한다. 우리의 김치와 중국의 파오차이는 맛과 모양, 갈래가 완전히 다른 식품이기 때문이다.

순천대 김치연구소장으로 있는 필자는 지난해 10월26일자 중앙일간지에 '김치에 한자 이름을 지어주자'라는 기고문을 게재하는 등 김치의 한자 이름을 정하기 위한 여론 형성작업을 지속적으로 해왔다.

이런 가운데 우리 정부에서는 지난해 11월 초, 김치의 중국식 이름을 '신치(辛奇)'로 정해 중국 등지에 상표 출원하고 향후 중화권에 수출되는 국산김치의 명칭은 모두 '신치'로 통일한다고 발표했다. 늦은 감이 있지만 김치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다행스러운 일이다.

농식품 관련 공기업 관계자는 최근 신문 기고문에서 "김치와 중국어 발음이 부합하는 명칭 4000여개를 조합한 뒤 중국 언어학자, 마케팅 전문가, 상표법 전문가 등 현지 전문가와 함께 수차례 검증작업을 거쳐 최종적으로 김치의 중문 명칭 '신치'가 탄생하게 됐다"고 밝혔다. 중국에서 외국어의 중국어 표기를 개발하는 네이밍 전문업체와 함께 중국 8대 지역 2400명의 소비자, 미디어 관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는 부연이다.

그렇지만 중국인들은 영 달갑지 않다는 반응이라는 소식이 들려온다. 한국음식을 즐기고 특히 청국장이 너무 좋다는 한 중국인은 "신치는 우선 음식 이름 같지 않다"고 말했다는 신문보도도 있다. 이 신문은 '맵다는 의미로 사용한 신(辛)자는 중국에서 고생스럽다는 의미'로 의도와 어긋난다는 지적도 했다.

필자는 수차례 김치의 한자명으로 '진치' 또는 '딩치'를 제안했다. 중국발음에 '김'이 없으니 '금(金)'과 아름답다는 '기(琦)'를 사용해 만든 '진치(金琦)' 아니면 김치의 옛 명칭인 딤치와 유사한 깨끗하고 맑다는 의미의 '정(淨)'과 '기(琦)'를 사용한 '딩치(淨琦)'다.

순천대에 재학 중인 중국 유학생에게도 신치와 진치 중 어느 것이 김치 발음과 유사하냐고 물었더니 진치가 더 가깝다고 한다. 신치라고 부를 경우 매운맛이 없는 백김치나 동치미의 경우에는 뜬금없다. 다양한 전문가들의 의견을 모아 신치라는 용어를 최종 낙점했다고 하나 2% 부족하다는 생각이 든다.

김장이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도 등재된 이 시점에 여론을 널리 모아 김치의 한자 이름을 다시 한번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