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원재 기자 기자 2014.02.05 13:14:02
ⓒ 미래부 |
광전자소자는 광자(光子)를 이용해 전기를 빛으로 또는 빛을 전기로 변환시켜 태양전지나 발광다이오드, 광촉매 등에 사용하는 핵심부품이다.
5일 미래부에 따르면 이 교수는 플렉서블 극평탄 금속기판 제조기술을 개발한 업적을 인정받았다. 얇게 만든 금속기판은 유연연하면서도 수분에 취약한 플라스틱이나 충격에 약한, 얇은 유리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어 플렉서블 기판 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금속기판을 얇게 만드는 과정에서 금속표면이 거칠어져 전류가 누설되는 현상이 일어나 플렉서블 전자소자로의 상용화에 큰 걸림돌이 돼 왔다.
이와 관련 이 교수는 평탕한 유리소재의 모(母) 기판과 그 위에 놓인 금속기판 간의 원자결합력을 조절, 유리기판의 표면 평탄도를 금속기판에 전사하는 방식으로 표면 거칠기를 100나노미터(㎚)에서 1나노미터(㎚) 이하까지 낮췄다.
별도 제조공정이 줄어들어 전자소자 생산의 경제성을 높일 것으로 주목받는 이 기술은 대한민국 발명특허대전 대통령상(2011년) 및 국가녹색기술대상 장관상(2011년) 등을 수상한 것은 물론 산업체에 이전돼 상용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 교수는 그간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Advanced Materials)' 등 정상급 국제저널에 285편의 논문을 발표해 4000여회 인용됐으며, 344편의 특허를 등록하는 등 활발한 연구개발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이 교수는 "안 된다고 생각하면 그 일은 절대 이뤄지지 않지만, 된다고 생각하면 그 일은 이뤄질 수도 있다"며 "1% 가능성이 있을 때, 우리는 도전을 두려워할 필요가 없다. 단지 관점의 차이다. 패배감으로 가득 찬 사람에게 99%의 가능성을 제시해도 그 1% 때문에 실패한다. 학생들에게 자주 하는 얘기"라고 말했다.
한편, 이달의 과학기술자상은 산·학·연에 종사하는 연구개발 인력 중 우수한 연구개발 성과로 과학기술 발전에 공헌한 인물을 발굴·포상해 과학기술인의 사기진작 및 대국민 과학기술 마인드를 확산코자, 지난 1997년 4월부터 시상하고 있으며 매월 1명씩 선정해 장관상과 상금을 수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