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개인정보유출 사태를 수습하기 위해 금융당국이 오는 3월까지 문자, 이메일, 전화 등을 통한 금융사들이 영업을 원칙적으로 중단한다는 '개인정보 불법 유통·활동 차단 조치'를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를 두고 컨택센터 아웃소싱 업계가 가슴앓이 중이다. 최근 벌어진 카드사 개인정보 유출에 피해자의 상심만큼이나 기업의 흥망성쇠를 걱정하는 처지에 놓였기 때문이다.
금융소비자들이 개인정보 유출로 카드 해지부터 통장 정지 등 다양한 방법으로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것을 반증하듯, 콜센터에는 문의가 끊이지 않고 있다.
하지만, 아웃바운드 상담사들의 업무는 중단됐고, 아웃소싱 사용 기업은 아웃소싱업체와의 계약을 해지하는 수순을 조심스레 예상하고 있다.
아웃바운드 업무를 담당하는 상담사 대부분은 자사 소속이 아닌 파견근무자로 아웃소싱 업체 소속이다. 아웃소싱 기업은 사용업체 계약해지 통보에 따라 상담사 급여를 줄 수 없어 어쩔 수 없이 상담사들을 해고 조치해야 하는 상황에 놓이고 만 셈이다.
정부에서는 지난해부터 창조경제를 외치며 고용률 70% 로드맵을 달성하기 위해 시간선택제일자리 확산을 비롯해 다양한 정책을 펼쳤지만, 결과적으로 이번 금융당국의 조치에 아웃바운드 상담사 18만여명은 거리로 내몰리는 위기를 맞게 됐다.
정부의 일자리 창출이 아닌, 일자리 줄이기라고 봐도 무관할 정도다. 지난해까지만 해도 콜센터가 경력단절 여성의 일자리 창출에 큰 역할을 하고 시간선택제일자리에 가장 적합하다는 평가가 뒤따랐지만, 이제는 상처뿐인 영광이 돼버렸다.
금융소비자들을 위해 내놓은 방안도 좋고, 책임을 지고 사퇴하는 점도 좋지만, 열심히 땀 흘려 일해 온 상담사들에 대한 보다 올바른 처우 결정이 필요한 시기다.
일부 금융권에서는 아웃바운드 상담사들을 전환배치하고 있지만, 모든 상담사들을 떠안기에는 역부족이다.
18만여명의 아웃바운드 상담사들의 눈길이 온전히 정부와 아웃소싱 사용 기업에게 쏠릴 것은 자명하다. 이는 정부나 기업이 보다 현장에 귀를 기울여야 하는 이유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