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정상화냐, 법정관리냐' 생사기로에 놓인 쌍용건설이 오는 26일 '운명의 날'을 맞게 된다. 연말까지 갚아야 할 대금이 총 3000억원으로, 늦어도 오는 26일까지 채권단 추가자금지원이 진행돼야 기사회생할 수 있다는 얘기다. 이번 사태의 전말을 두루 살펴봤다.
쌍용건설 유동성 위기는 첫 단추부터 잘못 꿰진 '워크아웃 탓'이란 게 건설업계 직언이다. 원래 계획과 다른 워크아웃 진행으로 지금의 화를 불러일으켰다는 얘기다.
애초 쌍용건설 위기 원인은 해외 저가수주에 의한 공사손익이 아닌 국내 부동산 경기침체에 따른 PF보증사업 부실화였다. 실제 해외사업은 금융위기 이후 국내에 3000억원 유동성을 공급할 정도로 양호했다.
지난 2월26일 진행된 채권단 실사에서도 이는 여실이 들어났다. 쌍용건설의 계속기업가치는 8227억원인 데 반해 청산가치는 4318억원에 불과해 법정관리보다 워크아웃을 선택하게 된 것이다.
이에 따라 채권단은 워크아웃 개시와 함께 2770억원을 출자전환하고, 따로 4450억원을 지원하기로 약속했다. 또 이와 별도로 연말 손실규모에 따른 추가지원도 집행할 예정이었다.
워크아웃 중인 쌍용건설이 채권단 추가지원 일정이 늦춰지면서 절체절명 위기에 놓였다. ⓒ 프라임경제 |
사태는 채권단이 연말 추가지원하기로 했던 자금이 늦어지면서부터 발생했다. 약속했던 추가자금지원이 차일피일 미뤄지면서 군인공제회 PF대출 상환계획이 어긋난 것이다.
채권단은 연말 추가자금지원을 위해 지난 11월1일부터 24일까지 예일회계법인에 쌍용건설 실사를 의뢰, 출자전환 5000억원과 자금지원 3000억원이 필요하다는 결과를 얻어냈다. 하지만 이는 다소 과장된 결과라는 게 업계 측 진단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군인공제회가 올 연말 PF대출상환을 강제이행 할 경우다. 만일 이 같은 일이 벌어진다면 약 1400여곳에 달하는 쌍용건설 협력업체들의 줄도산은 물론이고, 현재 진행되고 있는 타 건설사 해외사업도 파편을 맞을 수 있다.
여기에 쌍용건설을 비롯한 한국기업의 해외사업 진출에도 찬물을 끼얹을 수 있다. 일례로 쌍용건설과 함께 싱가포르 지하철 1개 공구를 시공하던 오스트리아 업체는 쌍용건설이 법정관리에 들어가자 수주금액 100% 보증 또는 모기업 보증을 요구하기도 했다.
이뿐만 아니다. 싱가포르에서만 4개 현장 약 1조7000억원 규모 공사를 수행 중인 쌍용건설이 법정관리에 들어가게 되면 보증여부와 상관없이 국내업체 입찰배제 현상이 일어날 수도 있다.
실제 이번 쌍용건설 사태를 두고 건설업계는 바짝 긴장한 눈치다.
한 건설업계 관계자는 "애초 워크아웃 플랜대로 자금지원이 이뤄졌다면 사태가 이 지경까지 가지 않았을 것"이라며 "특히 건설업계의 전반적인 침체 속에서 중소업체 뿐만 아니라 대형건설사도 안심할 수 없다는 신호탄으로 건설업계 전반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어 이 관계자는 "쌍용건설이 법정관리에 들어갈 경우 해외건설시장에서 국내건설체 신뢰도에 적지 않은 타격을 입을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