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은행권이 수익성 저하로 골몰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본부 슬림화와 지점 통폐합 등 바람이 불고 있다.
영국계인 SC은행은 영업 일선에 대한 지원기능을 강화하고 신속한 의사결정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조직 개편을 추진할 것으로 3일 알려졌다. 주요 의사결정을 담당하는 경영진 3분의 1을 줄이고, 본부 부서도 기존의 47개에서 약 30개까지 감축한다. 통·폐합되는 기존 부서의 관리직 인력들을 대거 영업 유관 부서에 배치, 영업력 극대화에 나선다는 구상이다. 국민은행은 내년 1월 초 55개 점포를 통폐합한다고 2일 밝혔다.국민은행은 이익을 내는 점포도 통폐합 대상에 포함시켰다. 대신 남은 인력을 금융 수요가 많은 신규 택지개발지역 등의 점포로 이전시킨다.
◆인력 감원에는 조심스러워
하지만 조직의 개편에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는 감원 카드에는 조심스럽다. 오히려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문제가 맞물려 있어 인력 운영에 부담이 더 가는 양상이다.
외환은행은 내년 1월부터 영업점과 본점의 로즈텔러와 별정직원 등 무기계약직 2000여명을 정규직 6급으로 전환하기로 했다. 별도직군이 아닌 기존 정규직 체계에 편입시켜 승진에서도 차별을 없애겠다는 조치다.
국민은행도 계약직들을 내년 1월부터 정규직으로 전환하기로 결정했다. 이번에 전환되는 직원들은 L0직급으로 편입된다. 현재 국민은행은 정규직 체계를 L1~L4로 운영하고 있다.
우리은행은 지난 4월 2011~2012년 채용된 창구 전담, CS업무 담당 직원 440여명을 정규직으로 전환한 바 있다.
◆인위적 감축 대신 자연 감소에 역할 강화…성공할지 관건
이처럼 은행권이 비정규 인력의 정규직화와 조직 개편이라는 문제를 동시에 수행하고 있는 것은 사회적 고용 책임을 강조하는 시각과 조직의 수익성이라는 요구에 맞딱뜨려 있기 때문이다.
비정규직의 정규직화는 인건비 상승이라는 측면에서 당장 실적에 부정적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요소다. 대신 각 은행은 시간제 일자리에 소극적으로 대응하더라도(기업은행 등 극히 일부만 이 제도에 관심) 차라리 비정규직을 정규직화하는 정도가 사회적 요구를 수용하는 것과 효용성 창출 두 측면에서 최상으로 여기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명예퇴직 등을 통한 큰 폭의 감축 역시 수익성면에서 좋은 카드만은 아니다. 각종 위로금 등의 지급 부담으로 일시적이나마 부담이 크게 걸린다는 것을 그간의 경험에서 알고 있기 때문이다. 지금 사정이 대규모 명퇴를 감당하기 쉽지 않다는 우려인 셈이다.
따라서 각 은행은 인위적 감축 대신 임금피크제 등이나 감소된 인력을 충원하는 폭을 줄이는 등으로 해법을 모색할 것으로 관측된다.
결국 관건은 수익성 부담을 연착륙시키는 데 있다. 은행 인력의 고질적 약점으로 꼽혔던 전문성 없는 제너널리스트 경향을 보완하는 데 근래 각 은행이 골몰하는 것이 바로 이 때문이 아니냐는 지적이다. 국민은행이 수익이 당장 나는 지점이라도 일부는 과감히 포기하는 대신 새로운 수익성 창출 지점에 인력을 보내기로 한 것이 좋은 예다. 또 기업 심사 전문성 강화에 나서고 있고, 신한은행은 은행원들이 업무 전문 지식을 공부하는 것을 독려하고 있다.
더욱이 고객을 찾아가는 포터블브랜치나 스마트뱅킹을 주력으로 개편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가운데 이를 맡을 인원 개발도 쉽지만은 않은 도전이 될 전망이다. 인원을 줄이는 데 소극적인 한국식 은행 문화가 시험대에 서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