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어윤대 경징계' 김승유 전 회장 징계수위에도 영향

매듭 후에도 제왕적 회장 군림 과거 반성 계기 과제

임혜현 기자 기자  2013.10.11 09:25:43

기사프린트

[프라임경제] 어윤대 전 KB금융그룹 회장에 대한 경징계가 추진되면서 하나금융그룹 문제에도 일정 부분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어윤대 전 KB금융 회장에 대한 경징계 방침이 모습을 드러내면서 그간 어 전 회장 징계수위와 함께 연동돼 형평성 논란을 낳았던 김승유 전 하나금융 회장 징계 추진 문제도 처리 급물살을 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하나금융  
어윤대 전 KB금융 회장에 대한 경징계 방침이 모습을 드러내면서 그간 어 전 회장 징계수위와 함께 연동돼 형평성 논란을 낳았던 김승유 전 하나금융 회장 징계 추진 문제도 처리 급물살을 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하나금융

이번 어 전 회장에 대한 징계는 당초 중징계가 추진될 것으로 보였으나, 내부 미공개 자료를 외부에 전달하는 문제의 감독 책임 입증에서 어 전 회장이 과연 이를 보고받고 알았느냐를 밝히기가 쉽지 않다는 점에서 경징계로 선회한 것으로 종합된다.

다만 이 문제의 처리 과정에서 어 전 회장 문제와 같이 관심을 모았던 부실 저축은행에 대한 대출 지시 논란의 김승유 전 하나금융 회장 징계 처리 역시 일정하게 유사한 패턴을 그릴 것이라는 관측이다.

당초 어 전 회장이 중징계되는 경우, 김 전 회장의 문제와 도덕성 측면에서 수위 조절을 해야 한다는 형평성 논란이 불거질 수 있었으나 이 문제가 해소된 셈이다. 김 전 회장의 경우 저축은행 문제가 부각되면서 검찰 수사를 받기도 했으나 무혐의 처리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물론 검찰 수사와 금융당국의 징계는 작용의 범주나 적용 논리가 다르나, 이번 어 전 회장 징계 수위가 조절되는 점에서 황영기 전 KB금융 회장의 징계이의소송의 승소 판결 확정 역시도 일정 부분 작용한 것이라는 해석론도 있다는 점을 참고할 필요도 있어 보인다. 어 전 회장, 김 전 회장 모두 중징계가 답이라는 논리면 모를까, 어 전 회장에 대한 수위 조절이 이뤄진 상황에 굳이 무리하게 김 전 회장에 대한 일벌백계론 잣대를 들이대기는 쉽지 않다는 것이다.

퇴임한 인사에 대한 온정적 조치라는 점에서도 구색을 갖추기가 쉽다.

다만 문제 발생 당시에 △하나금융그룹은 김 전 회장의 재임 시절 매트릭스 구조로 사실상 회장의 권한이 집중적으로 발휘되기 쉬운 상황이었다는 것 △더욱이 김 전 회장은 은행업으로의 전환과 지주사 탄생, 금융그룹 성장의 신화적 중심인물로 제왕적 체제가 더 공고히 구성되어 있었다는 점은 부인하기 어렵다. 즉 △사고 당시 이사회 결의 등 절차적 진행을 제대로 처리하지 못하고 이사회의 소집 날짜를 조작했다는 의혹이 불거졌다는 문제 등에서 도의적으로나마 감독 책임이 완전히 0이 된다고 보기는 무리가 있다는 것이어서, 이 같은 과거의 인치(人治) 흔적을 딛고 완전히 시스템으로 운영, 관리되는 조직으로 확고히 자리매김할 숙제가 하나금융에는 이번 징계 국면 이후에도 주어진다고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