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민병두 "일관성 없는 신용등급, 상호금융 사용자 피해"

임혜현 기자 기자  2013.10.02 13:43:38

기사프린트

[프라임경제] 신용등급이 신용평가회사에 따라 큰 격차가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민병두 민주당 의원은 금융감독원으로부터 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은 현상을 확인했다고 2일 밝혔다.

민 의원에 따르면, 대표적 신용평가회사인 나이스신용평가정보(NICE)와 코리아크레딧뷰로(KCB)의 2013년 6월말 기준 이용자 신용분포도를 보면 최대 5등급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3년 6월 현재 KCB는 3등급이 714만8600여명(17.4%)으로 가장 많이 차지하고 있는 반면 NICE는 5등급이 817만1800여명(19.5%)으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이고 있다.

이어 KCB는 5등급(15.5%), 4등급(15.1%), 2등급(14.7%), 6등급(12.6%), 1등급(9.8%)의 순이었고 NICE는 1등급(15.51%), 2등급(15.5%), 4등급(14.9%), 6등급(10.9%), 3등급(10%)순의 분포도를 보였으며 3등급의 경우 KCB는 첫 번째(17.4%), NICE는 다섯 번째(10%)로 두 회사의 분포도 순위에 있어 무려 5등급 차이가 났다.

이 같은 현상은 지난 2010년 이후 계속된 것으로 확인됐다. 두 회사 간 격차는 3등급이 가장 심했고 저신용층인 7~9등급에서도 격차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 중의 하나는 신용평가회사마다 평가기준이 다르기 때문이다. 민 의원이 제출받은 자료를 보면, 두 회사 간 기준은 상환이력정보와 현재부채수준의 비중에서 차이가 가장 많았다.

나이스는 상환이력정보를 40.3%로 가장 많이 반영하고 있으며, 상품별 계좌건수 및 활용비율과 같은 신용형태정보에 25.8%, 현부채수준은 23% 비중을 뒀다. 반면 KCB는 현재부채수준을 35%로 가장 비중 있게 다루고 상환이력정보(25%)와 신용형태정보(24%)를 비슷한 비중으로 평가하고 있다.

이에 대해 민 의원은 "신용등급이 신용조회사마다 달라 소비자들의 혼란을 초래하고 소비자가 자신이 선택한 신용평가사의 기준에 따라 신용관리를 해왔더라도 신용정보를 이용하는 회사에서 다른 신용평가사의 정보를 이용할 경우 본의 아니게 불이익을 받게 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특히, 그나마 자체신용평가를 할 수 있는 대형은행과 달리 상호금융 등은 신용평가사의 신용평가에 절대적으로 의지할 수밖에 없다"고 지적하고 "신용정보 평가기준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