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기자수첩] 학력철폐? 공공기관 아직까지 명문대 선호

김경태 기자 기자  2013.07.24 16:32:35

기사프린트

[프라임경제] 최근 대기업이나 공기업에는 청년구직자가 몰려 구직난을 겪는 데 반해 중소기업들은 구인난을 겪는, '풍요속의 빈곤' 현상이 계속되고 있다.

하지만 최근 정부에서는 학력철폐를 외치며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취업을 돕는 취업박람회를 개최해 학생들에게 구직의 기회를 주고 있고, 대기업 역시 스펙위주 보다는 실무능력이나 오디션 등으로 구인을 하고 있다.

문제는 정부에서 외치는 '학력철폐'가 공기업에서는 아직까지도 통용되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공공기관의 지방대 졸업생 채용이 지난 2008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기 때문이다.

특히 공공기관 8곳 중 1곳은 지난해 지방 학교를 나온 취업지망생을 단 한 명도 합격시키지 않았다.

지난 22일 공공기관 경영정보공개시스템인 알리오에 따르면, 지난해 295개 공공기관의 수도권 외 지역인재 채용 인원수는 7561명으로 전체 신규채용 인원인 1만4864명 중 50.9%를 차지했다. 전체 공공기관 취업자 중 수도권 외 지역인재가 차지하는 비중은 공공기관 경영정보를 직접하기 시작한 2008년 58.4%를 시작으로 △2009년 58.3% △2010년 54.2% △2011년 52.9%로 하락세를 보였다. 지난해에는 가까스로 절반 수준을 지키는데 그쳤다.

특히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정보통신정책연구원, 통일연구원, 한국기상산업진흥원 등 41곳은 지난해 신규 채용을 진행하면서 비수도권 인재를 1명도 채용하지 않았다. 비수도권 지역인재는 서울·경기·인천지역을 제외한 지방학교를 졸업하거나 중퇴·재학·휴학 중인 사람을 말한다.

기획재정부가 공공기관 지방대 채용 가이드라인으로 설정한 30%를 충족하지 못하는 공공기관은 127곳으로 전체 공공기관의 43%에 달하는 것이다. 물론 이런 가이드라인이 의무 규정은 아니지만 정부에서 시행하고 있는 정책과는 그 궤를 달리하고 있지 않은가.

정부에서는 고용률을 올리기 위해 특성화고 채용 확대나 학력철폐 등을 추진하고 있지만 정작 정부 산하기관이라고 할 수 있는 공공기관에서는 아직까지도 명문대를 선호하고 있는 것이다.

물론 업무에 따라 전문지식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하지만 전문지식이 명문대를 지칭하는 것은 아니지 않은가. 특성화고등학교나 지방대를 졸업했다 하더라도 전문분야를 공부했기 때문에 자격은 충분하다고 생각한다.

  이미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인식 전환이 먼저라고 생각한다. 지방대 출신이라고 해 무시하는 것 보다는 좀 더 현실적인 채용면접을 통해 구인을 해야 할 것이다. 최근 기업에서 실시하고 있는 서류를 보지 않고 진행하는 면접, 1:1면접이 아닌 블라인드 면접, 오디션 면접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채용을 한다면 학력이라는 굴레에서 벗어날 수 있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