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기자수첩] '디지털교과서' 요란 떨더니… 교육부 손 놓았나?

최민지 기자 기자  2013.06.26 15:37:02

기사프린트

[프라임경제] 교육부는 내년부터 중학교 사회·과학·영어 3과목에 디지털교과서를 보급한다는 야심찬 계획을 밝힌 바 있지만, 아직 구체적 계획조차 나오지 않고 있다. 교육부 관계자에게 지난 6월11일 디지털교과서에 대한 세부 방향을 물었더니 "1~2주 내 디지털교과서 정책안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했다. 그로부터 2주가 지났지만, 교육부는 여전히 감감무소식이다.

디지털교과서 사업은 2013년 이후 상용화를 목표로 2007년부터 본격 추진해 왔다. 당시만 해도 국비와 지방비 총 660억원 투자와 함께 무거운 책가방이 사라지고 미래형 교과서가 등장할 것이라는 기대 목소리가 높았다.

이 사업은 이명박 정부가 중점적으로 추진한 스마트교육 핵심사업 중 하나로 이어졌다. 하지만 찬반논쟁에 불이 붙기 시작했다. 스마트교육 시행 예산 2조2000억원 중 디지털교과서 개발과 연수에 5748억원 예산을 투입한다는 소식에 과잉예산 논란까지 겹쳤다. 결국 지난해 11월 재정부가 디지털교과서 사업 예산 25억원을 전액 삭감하고 13억7800억원으로 정부안을 올렸다는 언론보도까지 등장하기에 이르렀다. 

야심차게 시작했던 디지털교과서가 교육 효과와 디지털교육 역기능에 대한 반대 목소리에 부딪혀 표류하기 시작한 것이다. 이와 함께 초·중·고등학교에 도입할 예정이었던 해당 사업이 중학교로 축소되고, 스마트패드 지급 문제도 철회됐다. 이런 중에 구체적 계획발표는 계속 미뤄지고 있다.

교육부는 스마트기기 없이 콘텐츠만으로 스마트교육을 진행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좋은교사운동에서는 콘텐츠 자체 수준과 활용성이 높다면 문제가 없겠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 클릭교사를 양성하고 일방적 정보전달로 대체할 가능성이 높다고 우려한다.

예산삭감과 반대여론 등 각종 난관에 부딪힌 교육부, 과연 양질의 콘텐츠를 통해 디지털교과서 사업을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을까?

이에 대해 전자책 업계 관계자는 "교육부 디지털교과서 샘플은 욕심만 앞세운 매끄럽지 못한 작품"이라고 꼬집었다. 

현재 디지털교과서를 준비하는 출판업계와 학생, 교사들은 혼란을 느끼고 있다. 콘텐츠개발 업계 관계자는 시범사업 결과도 대대적으로 발표하지도 않고 연기만 되고 있기 때문에 작금의 상황에서 디지털교과서 사업에 참여할 필요성을 못 느낀다고 말했다. 

스마트폰이 보급되고 디지털이 더 이상 낯설지 않은 시대, 교육환경 역시 패러다임 변화가 필요하다. 그러나 각종 인프라와 디바이스 관련 재원, 콘텐츠 기술개선이 병행되지 않는다면 디지털교과서는 허울만 좋은 정책이 될 뿐이다.

  이미지  
 
상황은 이렇지만 교육부는 진격할 태세를 갖추지 못했다. 오히려 야심찬 청사진은 뒤로한 채 한 발 물러난 형상이다. 디지털교과서가 '용두사미'가 되지 않기 위해서는 교육부가 공감할 수 있는 제대로 된 계획을 내놓아야 한다. 스마트교육으로의 변화는 현 시대 피할 수 없는 자연스러운 흐름이다. 교육부가 이 물길을 타고 제대로 된 방향으로 나아가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