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우리금융 번들 쪼개팔기, 왜? '매력도 높이기' 초점

우리투자증권에 끼워팔기 눈길, 카드 운명 '지못미'

임혜현 기자 기자  2013.06.26 11:16:44

기사프린트

[프라임경제] 드디어 윤곽을 드러낸 우리금융지주 민영화에 세인들 관심이 쏠리고 있다. 당국이 과감하게 셀링포인트 설정 노력에 초점을 맞추고 노력을 기울인 점이 여실히 드러난 것으로 풀이된다.

26일 '우리금융지주 민영화 추진 방안'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우선 우리금융지주를 인적분할해 경남은행지주 및 광주은행지주를 설립하고 각각 경남은행 및 광주은행과 합병한 후 예보가 경남은행 및 광주은행 지분 56.97% 전체를 각각 매각한다.

또한 지방은행계열 매각과 동시에 우리금융지주가 보유한 우리투자증권(자산운용·아비바생명·저축은행 포함), F&I와 파이낸셜 지분은 각각 매각한다.

우리금융지주 지분율은 △투자증권 37.85% △파이낸셜 52.02%, △아비바생명 51.58%이다. F&I와 자산운용, 저축은행은 각각 100%를 갖고 있다.

정부는 지방은행계열 인적분할 및 증권계열 최종인수자 결정 이후, 우리금융지주와 우리은행을 합병해 은행 형태로 전환할 것으로 보인다. 이후 예보가 우리은행 지분을 매각한다.
 
최소입찰규모는 우리은행 매각절차 개시 시점의 시장상황 등을 감안해 추후 결정할 계획이다.

◆인적분할과 번들 구성 택한 정부, 매력적 상품세트 꾸미기+법적 요건 고심

분사한지 얼마 안 된 카드와 PE, FIS, 금호종금, 금융경영연구소 및 증권계열 중 미매각 자회사는 합병 후 우리은행과 함께 매각될 예정이다. 이번 안은 소유 규제 등 법률적, 제도적 제약을 피하는 한편 매력적인 세트를 구성하려는 노력이 절충된 것으로 보인다. 현재 구사할 수 있는 방법 중에는 가장 적절한 형태라는 뜻이다.

경남은행과 광주은행은 우리금융을 인적분할하는 방식으로 경남은행지주와 광주은행지주를 만들 방침이라는 점을 보자. 이렇게 처리한 이후 각각 경남은행 및 광주은행과 합병해 은행 형태로 매물로 나온다. 은행 형태가 되면 금융지주사 지배 금지 등 엄격한 소유 규제에서 벗어나 매력적인 매물이 될 수 있는 점에 착안한 것으로 해석된다.

인적분할을 사용하는 점도 눈여겨 볼 만 하다. 물적분할을 통한 분리 매각은 오히려 우리금융지주의 가치를 떨어뜨려 주가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분석(이런 주장을 하는 전문가로는 예를 들어, 하학수 이트레이드증권 애널리스트 등이 있음)을 귀담아 들은 것으로 판단된다.

   분리매각으로 신속히, 대신 제도적 제약은 모두 준수하고 매력도를 높이는 점도 신경쓸 것. 우리금융 매각의 윤곽이 나오면서 인적분할 등 방법론 구사에 눈길이 쏠리고 있다. 사진은 서울 우리금융 본사·우리은행 본점. = 임혜현 기자  
분리매각으로 신속히, 대신 제도적 제약은 모두 준수하고 매력도를 높이는 점도 신경쓸 것. 우리금융 매각의 윤곽이 나오면서 인적분할 등 방법론 구사에 눈길이 쏠리고 있다. 사진은 서울 우리금융 본사·우리은행 본점. = 임혜현 기자

'우리투자증권과 여러 회사들'이라는 매물이 등장하는 점도 적당한 방법이라는 평가다(일명 '1+3 매각'). 증권이야 워낙 탄탄하고 능력있는 매물로 관심을 갖는 인수 희망자들이 많다.

여기에 그간 쌓아온 자산운용사의 전문성으로 힘을 좀 더 얹는다. 그런 뒤, 시장상황상 당분간 혼자서는 투자매력을 장담하기 어려운 저축은행 등을 맡기는 식이다.

◆카드 '결국' 은행과 함께, '연구소' 안타까워

분사한지 얼마 안 된 카드의 처리 과정은 다시 주력사인 우리은행과의 협력으로 귀결됐다. 임명된지 얼마 안 된 수장이 교체되는 등  이미 진통을 겪은 우리카드는 다시금 '1등 카드사를 향한 도전'은 잠시 접고, 새 주인찾기 과제에 몰두하는 유예 과정을 치르게 됐다.

카드 부문의 역사는 우리금융 및 우리은행 역사의 집약판이라고 할 만 하다. 구 한일은행과 구 상업은행이 합쳐진 점만 기억하는 이들이 많으나, 옛 평화은행 합병 후 카드 업무를 한 곳으로 몰아주기 방식 처리 추진이 있었고 카드 대란 등 힘든 시기 속에서도 나름대로 제 역할을 하려 충실히 애써온 끝에 얼마 전 독립(분사)했기 때문이다.

이런 점 때문에 가입고객은 많으나 인지도는 그에 비해서는 떨어지는 비운을 겪기도 했는데, 오히려 앞으로 민영화라는 지난한  문제를 확실히 처리하고 나서는 본격적인 레이스에 나설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는 시각도 있다.

연구소가 기능을 미처 다 꽃피워 보지 못하고 민영화라는 거대 담론을 정면으로 대면하게 된 점에는 안타까움을 느끼는 시각이 적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