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전남도청 발주 완도항 '정비공사 부실 의혹'

완도해경 수사 착수…언론보도 후에도 발주처·감리 "문제없다"

장철호 기자 기자  2013.06.21 10:13:02

기사프린트

   전남도가 규격석을 사용했다고 주장하는 완도항 재해취약지구 정비공사 현장. 육안으로도 규격화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장철호 기자.  
전남도가 규격석을 사용했다고 주장하는 완도항 재해취약지구 정비공사 현장. 육안으로도 규격화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 장철호 기자.
   규격석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본지가 확보한 규격석 사진. 위 현장 사진과 큰 차이를 보인다. =프라임경제.  
규격석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본지가 확보한 규격석 사진. 위 현장 사진과 큰 차이를 보인다. = 장철호 기자

[프라임경제] 전남도청이 발주한 완도항 재해취약지구 정비공사가 부실 시공되고 있다는 의혹이 제기된 가운데 전남도청과 책임감리, 시공사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며 크게 반발하고 있다.

이에 본지와 N언론사는 잠수부를 동원해 수중촬영을 진행, 이들의 반발이 공허한 메아리였다는 증거자료를 확보했다. 본보의 취재에 발맞춰 완도해경이 수사에 나섰다.

21일 전남도에 따르면 도는 지난 2월4일 103억원 규모의 완도항 재해취약지구 정비공사는 2015년 7월 23일 준공을 목표로 혜인이엔씨와 한국기술개발(주)이 책임감리하고, 화성산업(주)과 서화종합건설(주)이 공동시공한다.

현재까지 공사에 투입된 사석은 1만㎥ 정도로 25톤 차량 500여대 물량이다. 공사 시방서에 따르면 이곳에 투입될 사석은 0.015~0.03㎥/ea의 규격석을 사용토록 하고 있다. 해당 공사는 규격석 위에 0.2㎥/ea크기의 피복석과 TTP(테트라포트, 파도의 힘을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콘크리트 구조물)를 덮는 과정을 거친다.

때문에 여기에 채워지는 규격석이 너무 작으면 파도에 쓸려나가고, 너무 클 경우 공간이 많이 생겨 견고함을 잃게 되기 때문에 일정 규격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이곳에 투입된 물량 가운데 상당량이 돌가루와 토분, 규격 미달의 사석이 납품됐다는 의혹이 최근 인터넷 언론 N사를 통해 제기됐다. 본지와 N사는 전남도에 현장취재를 요청, 지난 18일 잠수부와 함께 현장 취재에 나섰다.

현장에 도착한 취재진들은 한 눈에 규격석이 아님을 알 수 있었다. 자갈 수준의 조그만 사석과 지름이 40cm이상 된 큰 사석들이 60~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상황.

그럼에도 불구하고, 발주처인 전남도 관계자는 "규격석이 70%이상이면 조건을 충족한 것으로 보기 때문에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밝혔다.

또 시공사 관계자 역시 "규격석의 5~10%가량은 크거나 작은 사석들이 포함될 수 있다"며 정상적인 공사였다고 답변했다.

   완도항 재해취약지구 정비공사 도면. 분홍색 경사면에 규격석이 사용되어야 한다. =프라임경제.  
완도항 재해취약지구 정비공사 도면. 분홍색 경사면에 규격석이 사용돼야 한다. ⓒ 전남도청

현장의 전반적인 공사를 감독하는 책임감리는 취재현장에 모습을 보이지 않았다. 취재진이 책임감리의 행방에 대해 묻자, 취재 후 주차장에 나타나 "하자가 아니다"라고 해명했다.

본지는 이 같은 발주처와 책임감리, 시공사의 해명에 대한 진위를 파악하기 위해 채석장에 야적된 15~30cm의 규격석 사진을 촬영했다. 한눈에 보기에도 완도항에 투입된 규격석과 큰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날 본지가 수중 촬영 전문가에 의뢰해 촬영한 동영상 역시 수면 위에 쌓여진 사석들과 별반 차이가 없어, 부실 의혹에 무게를 더하고 있다.

이에 대해 사석 전문가는 "공사에 투입된 사석은 쇄석기를 거치지 않은 것으로 보이며, 야적없이 발파 현장에서 그대로 옮겨 실은 것 같다"고 설명했다.

   수중촬영한 공사현장. 자갈 수준의 돌이 널려있다. =프라임경제.  
수중촬영한 공사현장. 자갈 수준의 돌이 널려있다. = 장철호 기자

현재 사석은 ㎥당 1만원선에 거래되고 있으며, 쇄석기를 거친 사석의 경우 1000~2000원가량 비싼 값으로 팔리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단가 차이는 그렇게 많지 않다.

하지만 이 쇄석 공정을 거칠 경우 공기가 늘어지고, 이에 따른 인건비나 물류비용이 만만치 않다. 때문에 시공사는 공기 단축을 위해 이같은 부실을 초래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완도해경은 본보의 19일 보도가 나간 뒤 수사에 착수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