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최근 정부가 발표한 '고용률 70% 로드맵'에 따르면, 자동 육아휴직제 정착, 육아휴직 기준 상향 등 여성의 경력단절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을 강화할 예정이다. 하지만, 현행 출산 및 육아휴직 제도를 자유롭게 이용하고 복귀할 수 있는 분위기가 정착된 기업이 많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대표 이정근)이 기업 737개사를 대상으로 '현재 여성 직원의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제도 활용 현황'을 조사한 결과, 45.1%가 '자유롭게 쓰고 대부분 업무에 복귀하는 편'이라고 응답했다.
이어 '휴가 쓰지 않고 바로 퇴사하는 편' 32%, '휴가를 쓰지만 대부분 복귀하지 않은 편' 22.9%로 조사됐다.
그렇다면 기업은 여성들의 출산·육아 휴직제도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 기업의 76.1%는 여성 직원이 출산·육아 휴직을 쓰는 것에 대해 부담을 느끼고 있었다.
그 이유에 대해 35.3%가 '대체인력을 구하기 힘들다'고 답했다. 이어 △팀원들의 업무 부담이 커저서 22.3% △신규채용 등으로 인건비가 증가해서 13% △대체인력의 업무 숙련도가 낮아서 11.6% △휴직 후 복귀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서 9.8% 등의 이유를 들었다.
이 때문인지 실제 출산·육아휴직자가 있는 기업 447개사의 여성 직원들이 쓴 출산 전후 휴직기간은 평균 6개월로 조사됐다. 법적으로 보장된 출산휴가는 90일, 육아휴직기간은 최대 1년이지만 막상 절반도 쓰지 못하는 셈이다.
또 10곳 중 1곳은 제도를 이용한 여성 직원에게 퇴사를 권유한 적이 있으며, 그 중 62.5%는 실제 퇴사로 이어진 직원이 있다고 밝혔다.
한편, 정부에서 제도 정착을 논의 중인 '자동 육아휴직제', 즉 출산휴가와 육아휴직을 연이어 쓰는 현황을 살펴본 결과, 29.6%는 직원들이 두 제도를 연이어 쓰지 않도록 규정을 두거나 권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민욱 사람인 팀장은 "여성 인력의 효과적인 활용을 위해서는 근무환경 개선 등의 제도적 접근도 중요하지만, 기업과 사회 전반의 의식 변화가 동시에 이뤄져야 실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