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광주시교육청, 책임경영 부재 ‘복지부동’으로 이어져

담당과장 출장, 형식적 결제…본청 과단위 책임경영 부재

김성태 기자 기자  2013.06.18 17:01:43

기사프린트

[프라임경제] 광주시교육청(교육감 장휘국) 과학경시대회에서 성적처리를 잘못해 입상자가 바뀌는 어처구니없는 일이 발생한 것은 단순 전산처리 오류가 아닌 시교육청 시스템에 근본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다.

특히, 이번 사태는 지난 1월 초등교사 임용고사 재시험 파문에 이어 5개월 만에 또다시 발생한 것으로, 본청 내에서 ‘복지부동’ 풍토가 만연해 있는 것 아니냐는 비난이 이어지고 있다.

박인화 교육위원장은 18일 오전 ‘제25회 과학경시대회 입상자 변경 사태’ 관련 경과보고를 받고, “이번 사태는 단순 전산처리 오류가 아닌 시교육청 인사시스템의 문제가 근본 원인”이라고 질타했다.

이번 사태로 인해 피해를 입은 학생은 입상취소 32명, 등위변경 22명, 신규입상 33명 등 총 87명에 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더욱이 채점 및 입상결과는 담당과장 전결로 처리되는 사안이지만, 정작 대회당일 담당과장은 외부 출장을 간 상태였고 채점・편철위원을 제외한 책임자는 담당 교육전문직 장학관과 장학사뿐이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이들은 대회당일 채점 마치고 학부모들의 항의가 들어오기 시작한 10일이 지나서야 오류를 발견했다. 또 최초 입상자 발표 전까지 7일이라는 충분한 시간적 여유가 있었음에도 책임 있는 재검토가 이뤄지지 않았고 결제 과정에서도 형식적인 절차만 이뤄진 것으로 드러났다.

재검 결과에 따라 시교육청은 32명의 학생에 대해 수상을 취소하고, 33명의 학생은 새롭게 수상자로 발표했으며 22명은 등위를 변경했다. 시교육청은 수상자에 대해 2만~5만원의 상품권을 부상으로 수여했으며, 수상이 취소된 학생들에게는 5000원 상품권을 주며, 사건을 무마하려 한 것으로 알려졌다.

박 위원장은 “결국 이번 사태는 교육전문직의 책임감, 성실성 부재와 근무기강해이가 불러온 인재”라고 질타하고, “시교육청은 현재 해당 부서장들의 책임 경영체제가 이루어지지 않고 특정조직에 과도한 권한이 부여되다 보니 본청 내에서도 ‘복지부동’ 풍토가 만연해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

박인화 교육위원장은 "초등교사 임용시험 관리 부실로 시험 중단이라는 초유의 사태가 발생한지 불과 5달만에 또다시 이런 사태가 발생한 것을 단순한 전산오류 착오로 덮으려 해서는 안된다"며 "시험 점수로만 교육전문직을 선발하다보니 업무에 대한 책임감, 성실성 등이 떨어져 근무기강이 해이해진데서 발생한 인사시스템의 문제이다"고 지적했다.

이에 앞서 광주시교육청은 지난 1월 치러진 초등교사 임용시험에서 감독관의 실수로 시험이 중단되는 초유의 사태를 빚은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