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부동산거래 활성화를 위해 박근혜정부가 발 벗고 나서고 있지만 재건축을 제외한 시장은 여전히 싸늘하기만 하다.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서울 재건축 아파트를 제외한 일반 아파트 시가총액은 5월 말 기준 565조2443억원으로, 지난해 말과 비교해 6조8705억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말 시가총액은 572조1148억원이다.
월별 변동사항을 살펴보면 지난해 대비 올 1월은 1조9902억원 줄어들었으며, 2월엔 2조2019억원 △3월 1조6838억원 △4월 1136억원 △5월 8809억원으로 전월 대비 꾸준히 줄어들었다.
지역별로는 송파구가 지난해 말 대비 시가총액 1조5809억원이 감소했으며, 뒤 이어 △서초구 6520억원 △노원구 4872억원 △성북구 4728억원 △강서구 4569억원 △강남구 4554억원 감소했다.
![]() |
||
일반 아파트 월별 시가총액 추이 (단위: 억원). ⓒ 부동산써브 |
강남구에서는 △도곡동 타워팰리스 △대치동 대치아이파크 △역삼동 래미안크레이튼 등 고가아파트에서 매매가가 하락했다.
강서구는 △등촌동 등촌아이파크 △화곡동 우장산롯데캐슬, 화곡푸르지오, 우장산아이파크, e편한세상 등 대단지와 △등촌동 동성 △가양동 대아동신 1단지 △염창동 삼성관음 등 노후 된 아파트 하락세가 컸다.
성북구는 △길음동 길음뉴타운 8단지 △석관동 신동아파밀리에 등 새아파트를 비롯해 △석관동 두산 △종암동 SK 등 입주 10년 이상 된 아파트서 매매가 하락이 많았다. 노원구는 △상계동 주공2단지, 주공3단지, 주공4단지 등 입주 25년이 넘은 아파트 매매가 하락이 집중됐다.
반면, 재건축 아파트 시가총액은 2012년 말 73조6896억원에서 5월 말 75조1591억원으로 1조4695억원이나 증가했다.
월별 시가총액 변동현황을 살펴보면 2012년 말 대비 1월은 1470억원 증가했으며, 2월에도 새정부 기대감으로 전월 대비 6410억원 늘었다. 이후 3월에는 2632억원, 4월 5975억원으로 상승세를 이어갔다. 다만, 5월 들어선 재건축시장 역시 약세를 보이며 1792억원 감소했다.
김미선 부동산써브 부동산연구팀 선임연구원은 "정부가 서민주거 안정과 주택거래 활성화를 위해 4·1대책을 발표한지 두 달이 되어가고 있지만 양도세 감면 수혜단지로 강남지역 재건축 단지가 꼽히면서 상승세를 보였을 뿐 부동산시장은 별다른 움직임을 보이지 않았다"며 "6월에는 취득세 추가 감면이 종료될 예정이여서 정부가 취득세 추가 감면 연장조치 등을 서두르지 않는다면 부동산시장 약세가 한동안 이어질 것이다"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