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포스코 광양제철소 제1 용광로가 세계 최대 규모로 재탄생했다.
포스코는 7일 광양제철소에서108일간 개수공사를 마친 1용광로에 불을 지폈다고 밝혔다.
이번에 화입된 광양제철소 1용광로는 6000㎥ 규모로 기존 최대규모였던 중국 사강그룹의 1용광로(5800㎥)를 제치고 세계최대 용광로에 올랐다.
광양제철소는 지난 1987년 4월 처음 3800㎥로 준공한 이래 2대기 3950㎥ 규모를 거쳐, 이번에 3대기 가동에 들어갔다.
용광로는 한번 건설하면 통산 15년 안팎 한번도 불을 꺼뜨리지 않고 가동하다 수명이 다하면, 용광로를 전면 재건조하는 개수공사를 하게 된다. 제철 설비 기술은 용광로의 수명과 개수공사후 규모 및 생산성 증대 등으로 가늠된다.
포스코는 이번 광양 1용광로를 개수하면서 포스텍, RIST 등과 산학연 협력으로 용광로 노체손상을 줄여주는 새로운 냉각시스템을 적용, 수명 연장도 기대할 수 있게 됐다.
또한 더 많은 환원가스를 용광로에 불어넣어 주는 고산소부화 조업기술 적용 등으로 고로의 단위내용적당 생산되는 쇳물의 양인 출선비를 2.50t/d.㎥까지 끌어 올리고, 고온의 환원가스 사용효율 증대로 연료비를 줄임으로써 연간 약 1000억원의 용선제조원가를 절감할 것으로 보인다.
포스코는 창업 20년만에 광양제철소 1용광로를 자체기술로 건설하는 데 성공했고, 이번에 세계 최대 용광로를 국산기술로 완공하는 개가를 올렸다.
이 밖에 국내 최초로 건식집진기를 도입함으로써 고로에서 배출되는 고압의 가스를 활용한 에너지 회수율을 높여 연간 13억원의 에너지 비용 절감도 기대된다.
또한 수증기 발생없이 슬래그를 식혀 고로시멘트의 원료인 수재를 생산하는 무증기수재설비를 갖춰 전력, 용수를 절감하고 냄새와 분진을 최소화시켰다는 평가다.
이번에 광양1용광로는 내용적 증대로 연간 쇳물 생산량이 기존 328만 톤에서 548만톤으로 늘어 단일고로 기준 세계 최대 생산량을 기록할 전망이지만 조강 생산량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포스코의 대표적인 고부가가치 제품인 자동차강판과 에너지강재가 지난해 각각 736만t과 270만t의 판매량을 기록해 전년보다 3.4%, 9.3% 오르는 등 매년 증가하고 있다.
이날 광양제철 화입식에서 정준양 포스코 회장은 "광양1고로는 고로 조업과 연원료 품질관리 및 설비관리 등 제선기술 전반에 걸친 포스코만의 기술력을 집약한 명실상부한 월드베스트, 월드퍼스트 쇳물 생산을 책임지는 표상이 됐다"고 의미를 부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