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박스권 상단 돌파 시 가계자금 주식시장 '컴백'

김학균 팀장 "투자 붐 나타났던 제반 갖춰…하반기 유입 기대"

이정하 기자 기자  2013.06.04 15:49:10

기사프린트

[프라임경제] 코스피지수가 지난 2011년 이후 지속되는 박스권 상단인 2050포인트를 상향 돌파할 경우 가계 자금이 다시 주식시장으로 몰릴 것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KDB대우증권은 4일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가계 자금의 주식시장 유입을 기대한다'를 주제로 간담회를 갖고 글로벌 위기 이후 주식에서 이탈했던 가계 자금이 하반기에 돌아올 것이라며 이미 전제조건을 충분히 갖췄다고 분석했다.

◆2009년 이래 가계자금 70조원 이탈

이 증권사 김학균 투자전략팀장은 우선 가계 자금이 주식시장에서 빠져나가면서 국내 증시에서 외국인 의존도는 심화됐다고 지적했다. 그에 따르면 2009년 이후 주식형 펀드와 예탁금을 합쳐 70조1000억원가량이 주식시장에서 이탈했다.

김 팀장은 "역사적으로 한국 증시는 세 차례의 붐을 경험했다"며 "이와 함께 4~5년 만에 주식시장으로 유입되는 패턴을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국내 증시는 2008년 펀드 붐 이후 5년째 순유출이 지속되고 있어 이제는 유입세를 보일 때가 됐다고 판단했다.

또한 그는 과거 펀드 붐이 일어났던 시기의 공통점은 △절대 저금리 △부동산 시장 안정 △주가 후행성 등이라며 현재 상황은 이러한 조건을 모두 충족시키고 있다고 봤다. 더불어 코스피가 3년째 지속하고 있는 박스권을 넘어설 경우, 자금 유입의 계기가 될 것이라고 역설했다.

김 팀장은 "1차 펀드붐(1994년), 2차 펀드붐(1999년), 3차 펀드붐(2005~2008년) 등 과거 3차례 펀드 붐의 특징이 최근 나타나고 있다"며 "코스피가 2011년 이후 지속되는 박스권을 상향 돌파할 경우 가계 자금의 주식시장 유입을 기대해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외국인 순매수 지속해야"

그러면서도 김 팀장은 박스권을 돌파하기 위해서는 외국인이 국내 주식시장에서 순매수를 지속해야 한다며 '외국인의 힘'을 강조했다.

이어 올해 글로벌 주요 증시에서 한국에서만 유독 외국인이 순매도를 하며 탈동조화(디커플링) 현상을 보이고 있으나 뱅가드 벤치마크 변경이 일단락되는 7월부터는 외국인의 순매수로의 반전을 기대해도 좋을 것이라고 귀띔했다.

또 그는 세계 주요 중앙은행들의 금리 인하로 글로벌 유동성 환경은 우호적이며 실제 5월에 유럽중앙은행(ECB), 한국, 호주, 이스라엘이 기준 금리 인하를 단행했으며 외국인은 순매수를 기록하고 있다고 제언했다.

외국인의 유입과 더불어 부동산 시장의 안정이 필수적이라고 조언, 김 팀장은 서울 아파트 가격 반등세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주택 가격 상승이 중요한 게 아니라 떨어지지 않는다는 믿음이 중요하다는 설명이다.

그는 부동산이 한국 가계 자산의 80%에 육박하고 있어 주택 가격이 하락할 때 자금은 부동산에 묶이는 매몰 자금으로 변화하게 된다며 정부의 '41 부동산 대책' 발표로 부동산 가격이 전국적으로 오름세를 보이고 있으며 다만 지난달 말에 상승세를 주춤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세대별 선호 자산 변화 '주목'

한국 가계의 주식 매수 여력에 대해 김 팀장은 "충분하다"고 밝혔다. 그에 따르면 한국 가계의 순금융자산 규모는 1327조원으로 이중 보험 및 연금, 주식 등을 제외한 가용은 219조원으로 추정된다.

김 팀장은 "가계 부채 문제는 한계계층(저소득층) 이슈에 집중돼 있으나 가계 전체적으로는 주식 매수 여력이 충분하다"며 순금융자산은 글로벌 위기 이후 연 평균 5.4% 증가했다고 밝혔다.

덧붙여 그는 세대별 선호 자산이 변화하고 있다며 주식시장에서 60대 이상의 투자자는 빠르게 증가하는 반면 청년실업 탓으로 20대 투자자수는 정체하고 있다고 판단했다.

김 팀장은 "최근 은행권 정기 예금금리가 2%대로 하락해 노후를 책임지기에는 터무니없이 낮은 금리"라며 "특히 기대수명이 길어지고 있다는 점은 은퇴 후 자산운용에 있어 또 하나의 리스크가 되고 있다"고 조언했다.

이어 그는 "한국 가계 입장에서의 딜레마는 부동산 보유 비중이 너무 높다는 점과 부동산의 유동화 가능 여부"라며 "기대 수명의 증가, 저축 자금 부족, 저금리 등을 감안하면 60대 이후에도 통념처럼 안정 지향적 자금 운용이 나타날지 의문"이라고 부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