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금융홀대 시대, KB號에 '이동걸 엔진' 얹는다면?

외국인 주주 안심시킬 관치 배제+금융통섭적 마인드 ‘기대감’

임혜현 기자 기자  2013.05.31 16:07:19

기사프린트

[프라임경제] 바야흐로 저수익의 시대다. 여기에 금융권이 납작 엎드려 있는 이유가 또 있다. 청와대 주인이 바뀌면서 전임 정권과 가까웠다는 평을 듣는 몇몇 인사들이 자리를 떠나게 됐기 때문이다. 이로써 한때 금융권 4대 천황으로 불리던 이들은 이제 찾아보기 어렵게 됐고, 새로 수장을 교체하게 될 금융그룹들은 각자도생과 자력갱생이라는 키워드를 되새기지 않을 수 없다.

최근 우리금융그룹이 내부 승진 인사로 이순우 회장 내정자를 맞이하게 된 점은 신입 공채 출신의 정통 뱅커가 최고위층에 오른 케이스로 회자되고 있다.

하지만 하나금융그룹이나 신한금융그룹, 하물며 KB금융그룹 같은 경우 이 내정자 같은 내부 우선 해법이 가장 적합한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엇갈린다.

우선 예금보험공사 지분을 정리해야 하는 즉 ‘민영화’가 지상명제인 우리금융과 정부 지분이 한 톨도 없는 KB금융의 수장 선출 해법이 완전히 같을 수 없는데 어물쩍 분위기 몰이로 같이 묶는 건 어폐가 있는 상황이다.

◆KB 홀로서기 키워드 ‘비전’

  이동걸 前 신한금융투자 부회장이 차기 KB금융지주 회장에 하마평이 오르내리고 있다.  
이동걸 前 신한금융투자 부회장이 차기 KB금융지주 회장에 하마평이 오르내리고 있다.
지금 임영록 KB금융 시장과 민병덕 국민은행장 등 내부 인사들이 질주하는 가운데, 외부 인사들은 레이스 참여를 사절하는 양상이 연출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추격자로 등장한 이동걸 전 신한금융투자 부회장이 눈길을 끌고 있다.

관료 출신인 임 사장은 국민은행 노조로부터 "내부 인사 아니다"라는 선긋기를 당한 상황이라 내부 출신의 인화 및 협력 강점을 살리기엔 어려워 보인다. 다만 여러 업무를 두루 꿰고 있고 금융 관련 정책 업무를 익혀 온 배경이 지주사 전반의 키를 잡는 데 도움이 될지 여부만 냉철히 평가받으면 될 상황에 서 있다고 할 수 있다.

민 행장의 경우가 정통 뱅커 이력에 가장 가깝고 내부적으로도 한솥밥 의식 형성을 할 수 있는 이력이라는 점이 강점이다.

그룹 전반 수익 대비 은행업에 대한 의존(치우침)이 과도한 KB의 경우, 리스크를 회피하고 안정적으로 조직을 이끌 뱅커다운 인물이 일정 역할을 할 수 있는 한편, 이를 극복해 신한금융그룹과 같은 포트폴리오 분산을 해 보려면 반대의 인선을 할 필요가 제기된다.

그런 점에서는 이동걸 전 부회장처럼 은행에서 출발했지만(옛 한일은행을 거쳐 신한은행으로 합류), 증권과 캐피탈 등 여러 업무를 두루 해본 종합금융인이 더 걸맞을 수 있다는 기대를 표하는 시각도 유효해 보인다.

문제는 또 있다. 박근혜정부의 금융 홀대(즉 일반 산업에 대해 금융을 상대적으로 중요성 인식에서 아래로 두는) 상황이 일종의 변수라기 보다 임기 내내 의식하고 대비해야 할 상수로 보인다는 점이다.

지난 29일 청와대와 금융위원회 등에 따르면 이날 새 정부 들어 처음으로 '국민경제자문회의'가 열렸다. 국민경제자문회의는 헌법상 최상위 대통령자문기구다.

그런데 이번엔 그간 관례적으로 당연직 참석을 했던 금융위원장은 제외됐다. 금융위원장을 뺀 대신 '미래부'를 참여시켰다는 것이다.

금융 홀대론이 새삼 부각되는 대목인데, 지금과 같은 유례없는 경제적 침체, 금융적 위기 사정에서 적어도 당국에는 도움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특히, KB는 외국인 주주들의 민감한 동향을 의식해야 하는 곳이라면 더더욱 수익을 내고 앞으로의 비전을 제시할 자급자족형 리더가 필요할 공산이 크다.

◆우리금융과 합칠 가능성도 염두?

그런 점에서 일부에서는, 이 전 부회장이 새로운 선장으로 거대금융조직인 KB의 키를 잡게 된다면, 조직의 개편이나 축소 혹은 여러 가능성에 열린 가능성을 인식하고 밑그림을 그려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감을 표한다.

이런 점은 또한 우리금융 민영화의 여파라는 점에서도 중요하다. 우리금융은 현재 계열사 떼어팔기 등 여러 처리법이 논의되고 있는데, 지방은행이나 우리투자증권 등을 모두 처리해도 본체격인 우리은행이라는 거대조직이 남는다.

세간에서는 이를 KB가 아니면 떠안을 곳이 없다고 보는데, 고위 당국자 중 일부는 언론을 통해 우리금융 민영화 와중에 인위적 구조조정(감원)은 없을 것이라고 이야기하고 있다. 이는 KB쪽에는 자금 부담이나 외국인 주주의 설득 외에 더 큰 문제를 야기하는 대목이다.

만에 하나 이런 조건을 감수하면서까지 두 조직간 통합을 하려면, 적어도 저쪽 수장과 대등하거나 더 우월한 능력자여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런 점에서 일단 연령 문제에서 연소하다는 등의 사소한 문제는 차치하고라도, 국민은행 노조가 은근히 선호할 정도로 인력 정책 등에 유화적인 경향의 민 행장이 거대한 두 조직을 끌어안는 경우를 잘 몰고 나갈지는 미지수다. 또 이렇게 민 차기 회장 대 이 차기 회장이 서로 머리를 맞대고 합병 문제를 논한다면, 행장 대 행장 정도의 구도로 흐를 여지가 있다.

그런 점에서 민 행장 등 내부 출신의 득세가 100% 나쁘다고만 단정하기는 어렵지만, 일부의 우려와 염려에도 새로운 외부 엔진을 옮겨다 심는 것이 적절하다는 목소리에 관심이 필요한 대목이다.